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5,50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09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
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는 근접장스캐닝광학현미경(NSOM)을 만들어 아베의 법칙을 극복한 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NSOM은 렌즈를 이용해 상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한 번에 한 점의 소멸파 데이터를 측정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09
인지과정’이 빚어내는 문제라고 보고 있다.“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인지과
학자
다니엘 카네만은‘인간은 비합리적’이라고 했어요. 저 사람이 가진 지식과 이 사람이 처한 상황이 만날 때 항상 합리적인 상호작용만 이뤄지는 건 아니죠. 최선의 해결책을 찾을 수도 있지만, 돌이킬 수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09
논쟁이 과학의 진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최신 학문인 인지과학을 국내 철
학자
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 책이 자라나는 과학도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오철우 지음 | 사계절출판사 | 238쪽 | 1만 1000원천동설을 무너뜨리고 지동설을 주장한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09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가을 전어 맛있는 이유는 지방 때문시인이여, 저무는 가을 바다로 가서 듬뿍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08
점에서 유전자변형(GM) 작물과 다를 바 없다는 주장도 있다. 사실 이에 대해서는 과
학자
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분자육종이냐 GM이냐는 삽입되는 유전자에 따라 결정된다. 한국육종학회 오대근 회장은 “다른 동식물이나 미생물의 유전자를 넣어서 만들어진 개체만 GM이라고 보는 게 현재 국제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08
만하다.우주 생명 오디세이크리스 임피 지음 | 전대호 옮김 | 까지 | 476쪽 | 2만 원천문
학자
인 저자는 스스럼없이 "천문학의 역사는 부끄러움의 행진이었다"고 밝힌다. 엄ㅊ어나게 크고 오래된 은하들과 그 안에 있는 무수한 별 사이에서 인간은 너무나 작고 미약한 존재라는 게 점점 더 명확해졌기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08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08
못한 경우가 많더군요. 우리 연구실에서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죠.” 오스트리아 유전
학자
그레고르 멘델은 꽃의 색깔과 위치, 키, 꼬투리의 색깔과 모양, 씨의 색깔과 모양처럼 서로 다른 7가지 형질을 나타내는 완두를 교배해 이들 형질이 유전되는 법칙을 알아냈다. 이 유전법칙은 지금까지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08
기후를 구분할 때는 기온이나 강수량 같은 기상요소와 식생분포가 기준이 되는데,
학자
마다 구분법이 조금씩 달라 아열대를 정의하는 기준도 차이가 있다. 크루츠버그(N.Creutzburg)는 1년 내내 월평균기온이 6℃를 넘고 월평균기온이 20℃ 이상인 달이 2달 이상일 경우 아열대기후로 본다. ... ...
도시의 전설
과학동아
l
200908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
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