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과학]기억력도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것. 어미가 여러 가지 경험을 하면 호르몬 분비량이 늘면서, 자궁 속에 있는 새끼의
뇌
에서 기억을 형성하는 또 다른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하지만 새끼들의 좋은 기억력은 생후 두 달 동안만 지속됐고, 새끼들이 성장해서 낳은 자식들은 기억력이 좋지 않았다. 또한 아빠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전문가들은 양심의 가치를 파악하게 하고 분노를 억제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뇌
에서 적게 분비되는 게 사이코패스를 만드는 한 원인이라고 진단한다.이전에 사이코패스는 연쇄살인범이라는 용어로 통칭됐다. 그런 면에서 사이코패스는 치정, 돈, 명예와 같은 명확한 동기 없이 살인을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염려가 없다. 학계에선 심장박동에 영향을 줘 일시적인 부정맥이 생기거나
뇌
혈류와
뇌
압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인 안전성에선 큰 문제가 없다는 게 중론이다.알약과 주사약영화 중반, 정신병원에 수감된 크리스틴이 약 먹기를 거부하자 담당의사는 강제 투약을 지시한다.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퍼져 지금의 아시아인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호모 에렉투스는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뇌
크기가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 등 특징이 많이 달라 현생인류로 직접 진화했을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이누이트와 부시맨은 다른 인류의 후손?아프리카에 사는 사람과 북극의 이누이트, 남태평양에 사는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루드만 지음 | 김기응 옮김 | 살림Math | 384쪽 | 1만 4000원“복잡한 미분 문제를 풀다 보면
뇌
가 시간(t)에 따라 미분돼 결국 사라지는 느낌이 들어요.”아무리 붙들고 있어도 풀리지 않는 수학문제와 맞닥뜨리면 누구나 한 번쯤 ‘도대체 이렇게 어려운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 쓸까’라고 고민하기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PKM제타가 서로 다른 종류의 기억에 적용되는 저장 메카니즘임을 보여준다. PKM제타는 두
뇌
의 일반적인 능력이 아니라 오직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뚜렷한 기억만 저장한다. 만일 추가적인 연구가 이 견해를 입증한다면 우리는 언젠가 PKM제타 기억 삭제에 기반한 치료법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전 세계 연구팀이 연구단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구단이 생쥐의
뇌
에서 발견한 ‘살름(SALM)’이라는 단백질의 원래 이름은 연구단이 붙인 ‘세모’(SEMO)였다. 2006년 초 연구단이 ‘뉴런’에 논문을 투고한 뒤 ‘뉴런’ 측에서는 통상적으로 논문의 일부 내용을 보강하는 과정을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어류, 포유류의 복제가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16년간 냉동고에 보관 중이던 생쥐의
뇌
세포핵을 치환해 복제생쥐가 태어났다.아직까지 알에서 발달해 태어나는 파충류와 조류는 복제하지 못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복제기술이 꽃피우는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많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뇌
졸중을 예방하며
뇌
세포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대중적 생선의 대명사였던 꽁치. 언제부턴가 세월의 흐름 탓인지 다른 먹을거리에 자리를 양보하고 서서히 그 인기를 잃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에 미식가들의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발견되는 매머드가 겪은 과정입니다. “어쩌면 땅속 깊숙히 어딘가에 매머드의
뇌
세포가 이처럼 온전히 남아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사실 전 개인적으로 매머드 보다는 태즈메이니아 호랑이의 부활여부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는 캥거루와 마찬가지로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