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작성!)을 했더니 몸속 포도당이 고갈됐나 보다.사실
뇌
야말로 ‘포도당 도둑’이다.
뇌
신경세포의 시냅스가 활동할 때 포도당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다이어트 비법 가운데 하나가 머리를 많이 쓰는 게 아닐까. 아무튼 뭘 좀 먹고 자야겠다. TV를 켜니 라면 광고가 나온다. 갑자기 라면이 먹고 싶다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퍼져 지금의 아시아인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호모 에렉투스는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뇌
크기가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 등 특징이 많이 달라 현생인류로 직접 진화했을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이누이트와 부시맨은 다른 인류의 후손?아프리카에 사는 사람과 북극의 이누이트, 남태평양에 사는 ... ...
[생태학]난폭한 메뚜기 ‘세로토닌’이 원인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메뚜기들은 계속 혼자 다녔으며 성질도 여전히 온순했다”고 밝혔다.세로토닌은 사람의
뇌
에서도 분비되는 물질로 행동과 기분에 영향을 준다. 메뚜기의 경우 먹이가 부족하거나 서식 장소가 좁을 때 세로토닌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척박한 환경이 메뚜기의 공격성을 자극하는 셈이다.연구팀은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전문가들은 양심의 가치를 파악하게 하고 분노를 억제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뇌
에서 적게 분비되는 게 사이코패스를 만드는 한 원인이라고 진단한다.이전에 사이코패스는 연쇄살인범이라는 용어로 통칭됐다. 그런 면에서 사이코패스는 치정, 돈, 명예와 같은 명확한 동기 없이 살인을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많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뇌
졸중을 예방하며
뇌
세포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대중적 생선의 대명사였던 꽁치. 언제부턴가 세월의 흐름 탓인지 다른 먹을거리에 자리를 양보하고 서서히 그 인기를 잃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에 미식가들의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발견되는 매머드가 겪은 과정입니다. “어쩌면 땅속 깊숙히 어딘가에 매머드의
뇌
세포가 이처럼 온전히 남아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사실 전 개인적으로 매머드 보다는 태즈메이니아 호랑이의 부활여부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는 캥거루와 마찬가지로 ... ...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병으로 얼굴의 감각신경이
뇌
간에서 동시에 발화돼 발생한다. 비슷한 현상이 대
뇌
에서 일어난 병이 바로 간질이다. 간질약은 신경의 동시발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삼차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지나친 의존은 금물지난 100년간 의학자들과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뛰어난 진통제가 여럿 나왔지만 이들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어류, 포유류의 복제가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16년간 냉동고에 보관 중이던 생쥐의
뇌
세포핵을 치환해 복제생쥐가 태어났다.아직까지 알에서 발달해 태어나는 파충류와 조류는 복제하지 못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복제기술이 꽃피우는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루드만 지음 | 김기응 옮김 | 살림Math | 384쪽 | 1만 4000원“복잡한 미분 문제를 풀다 보면
뇌
가 시간(t)에 따라 미분돼 결국 사라지는 느낌이 들어요.”아무리 붙들고 있어도 풀리지 않는 수학문제와 맞닥뜨리면 누구나 한 번쯤 ‘도대체 이렇게 어려운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 쓸까’라고 고민하기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전 세계 연구팀이 연구단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구단이 생쥐의
뇌
에서 발견한 ‘살름(SALM)’이라는 단백질의 원래 이름은 연구단이 붙인 ‘세모’(SEMO)였다. 2006년 초 연구단이 ‘뉴런’에 논문을 투고한 뒤 ‘뉴런’ 측에서는 통상적으로 논문의 일부 내용을 보강하는 과정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