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나는 비교적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쉽다. 그러나 뉴런의 개수가 늘어나면 급격히
복잡
해진다. 연구팀은 같은 해 뉴런을 하나 더 추가한 뒤 뉴런 2개가 신호를 주고 받는 과정까지 마쳤다.2008년에는 뉴런 1만 개로 이뤄진 쥐의 대뇌 신피질 한 부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실제 뇌에서 사고 활동의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테라헤르츠 편광기가 특정 폭발물의 화학적 지문을 확인하는 보안 설정 등 보다
복잡
하고 어려운 통신·센서·의료영상·화학물질 확인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로 한 겹의 벽을 만들어 시험해 본 결과 약 30%의 편광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최대 규모의 유권자(80만 명)가 참여했다. 비결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투표였다.
복잡
한 등록절차를 거치거나 현장투표소에 갈 필요가 없어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대거 이끌어냈다. 야당은 이번 4·11 총선의 당내 경선 과정에서도 모바일 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하지만 당대표 선출 때와는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
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클라우드(Cloud) 로봇’이라는 개념도 슬금슬금 나온다. IT분야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로봇에 결합됐다는 의미다. 로봇 플랫폼에 다양한 콘텐츠와 응용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움직이는 습관의 차이가 굳어져 근육의 운동능력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발음이 더
복잡
하고 혀를 다양하게 쓰는 언어권일수록 혀의 운동능력이 높게 나타났다.최홍식 강남세브란스병원 음성언어의학연구소장은 “발음에는 혀의 섬세한 조절이 필요한데, 특정 발음을 쓰지 않으면 그 발음을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귀’라고 하면 떠올리는 귓바퀴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귓바퀴 안쪽으로 연결된
복잡
한 청각기관들의 유기적인 협동을 통해 소리를 느낄 수 있다. 사람의 귀는 크게 외이(外耳), 중이(中耳), 내이(內耳)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외이의 가장 바깥쪽은 연골로 된 귓바퀴이며 소리를 모으는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잘하는 패턴 인식은 입력 신호가 너무
복잡
해서 어려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로 표현이 안 돼 컴퓨터로 처리하기 어렵다.뇌는 오랜 세월에 걸쳐 어려운 문제에 맞게 진화한 하드웨어다. 따라서 우리는 쉽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어려운 문제를 풀려면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조사결과, 아무리 세게 구겨도 구겨진 종이공 안은 75% 이상이 공기였다. 얇은 종이들이
복잡
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텅 빈 공간이 훨씬 많다는 얘기다.당시 시카고대 연구팀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구겨진 종이공의 크기를 줄이려면 뾰족한 부분과 능선이 더 많이 생겨나야 한다. 에너지가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투명해 혈관의 분포도 훤히 보인답니다. 그렇지만 단점도 있는데 염색체가 4배체라
복잡
한데다 한 세대가 1~2년으로 긴 편이죠.그래서 언제부터인가 과학자들은 친척인 서부발톱개구리(western clawed frog)에 더 관심을 갖게 됐어요. 이 친구는 아프리카발톱개구리와 특징이 비슷하면서도 몸집이 작고 ... ...
복잡
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자연현상은 물질-에너지-생명-시간-공간이 상호작용해 일어난다. 따라서 현재 일어나는
복잡
한 자연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통찰하는 능력과 이를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문제가 자주 나온다. 2010학년 서울대 ‘쓰나미 현상’ 문제, 2011학년 연세대 ‘음식물 쓰레기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