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작은 로봇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학적인
신경
계를 가진 ‘뉴로 로봇’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 모델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쥐의 의사결정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쥐의 의사결정 능력은 쥐에게 음식을 주는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역이다.그레이비엘 박사는“신호를 받은 직후부터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할 환자 수가 지나치게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의사가 환자에게 일일이
신경
쓸 여력이 없어졌다는 뜻이다. 손 교수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려면 의술을 치유의 개념으로 바꾸고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심어주는 ‘희망의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학으로 보는 세상이번 강연은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학자들의 견해와 연구 성과를 조목조목 비판하며, 사실상 지난 10여 년 동안 뇌 과학과
신경
과학이 어떤 새로운 사실도 밝혀내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인간에 대한, 그리고 뇌에 대한 가장 위험한 착각 이야기를 들어보자.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지음 | 문학과 ... ...
How a Sugar Pill Can Heal You?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효과를 활성화시킨 것이다. 과학자들은 플라시보 반응을 해석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신경
계 일련의 반응으로서, 심리적인 안정감만 주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스트레스 호르몬을 차단하는 생리학적 역할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꿔 말하면, 단순히 나아지리라는 생각만으로도 실제로 ... ...
Part 1. 편견 부수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도를 잘 읽고 기하학도 잘 한대. 좌뇌와 우뇌 사이에서 둘을 연결하는 ‘뇌량’이라는
신경
다발도 중요해. 여자의 뇌량은 남자보다 많고 두꺼워. 그래서 좌뇌와 우뇌가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지. 남자는 뇌량이 가는 대신 필요에 따라 한쪽 뇌에 집중해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게 사실이네요. 영장류의 유전자 조작이 사람으로까지 이어지면 어쩌죠?연구팀은 인간의
신경
질환이나 전염병 등에 유용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번 연구결과를 놓고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어요. 우리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가 생명윤리를 넘어서지 않는 쪽으로 이어지길 바랄 뿐입니다. ... ...
방금 따른 맥주가 맛있는 이유, 탄산 ‘맛’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각각 준 다음
신경
계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두 음료를 마셨을 때
신경
계에서 나타나는 반응이 서로 달랐다. 연구팀은 쥐가 신맛을 느끼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뒤, 같은 실험을 했다. 이번에는 두 음료에서 별다른 차이를 못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맛을 느끼지 ... ...
식욕은 최고의 진통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진통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쥐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동안에는 다른 데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먹는 데만 집중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반면 퀴닌을 먹인 쥐는 발 아래 전등에 불을 켜자마자 곧바로 발을 뗐다. 불을 켜기 전,쓴맛이 강한 퀴닌을 먹은 쥐들은 고통스러운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하고 있다 보면 전보다는 조금 더 즐거워진다는 거지. 학자들은 표정 근육이 움직이면
신경
을 통해 뇌에 어떤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이 이론과 비슷한 이야기를 가장 처음 한 사람은 찰스 다윈이었어. 다윈은 신체의 변화가 감정에 영향을 끼친다고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