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역이다.그레이비엘 박사는“신호를 받은 직후부터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 ...
만성통증의 원인 풀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만드는
신경
섬유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신경
과학자인 로버트 에드워드 박사는 C-LTMRs라는 수용체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수용체는 자극에 대한 역치가 매우 낮아 보통의 통증섬유와 달리 쉽게 자극받는 게 특징이다. 이 수용체는 수십 년 전에 발견됐지만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할 환자 수가 지나치게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의사가 환자에게 일일이
신경
쓸 여력이 없어졌다는 뜻이다. 손 교수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려면 의술을 치유의 개념으로 바꾸고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심어주는 ‘희망의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학으로 보는 세상이번 강연은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학자들의 견해와 연구 성과를 조목조목 비판하며, 사실상 지난 10여 년 동안 뇌 과학과
신경
과학이 어떤 새로운 사실도 밝혀내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인간에 대한, 그리고 뇌에 대한 가장 위험한 착각 이야기를 들어보자.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지음 | 문학과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D형은 기침 억제 작용이 있고, D형 암페타민은 중추
신경
을 활성화하는 반면 L형은 말초
신경
을 자극한다.이처럼 거울분자의 작용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근에는 약효가 있는 거울분자만 분리해 판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LG생명과학 연구개발본부 이태희 박사는 “기존의 약물이 라세믹일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필요하다. 또한 인과관계의 논리는 상당히 중요하므로 오류나 비약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개별 과목의 소재 간 통합은 자연계 논술의 핵심이며, 실제로 이 평가항목은 상당한 변별력을 갖고 있다. 논리적인 근거의 필요성 셋째는 창의력이다. 이미 내린 결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44 또는 4-4+4-4로 만들 수 있죠. 그럼 1부터 10까지 수를 만들어 보세요.”2 허풍과 로이드의
신경
전“다 풀었네. 맞는지 확인해 보게~.”말론이 로이드의 퍼즐을 살펴본다. 도형은 땀을 삐질삐질 흘리며 여전히 문제를 풀고 있다.“그만 풀어라. 졌다, 졌어. 그런데 이렇게 지면 내 체면이 뭐가 되겠니 ... ...
식욕은 최고의 진통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진통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쥐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동안에는 다른 데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먹는 데만 집중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반면 퀴닌을 먹인 쥐는 발 아래 전등에 불을 켜자마자 곧바로 발을 뗐다. 불을 켜기 전,쓴맛이 강한 퀴닌을 먹은 쥐들은 고통스러운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계속된다면 때로는 긁어 부스럼을 만들지 않는 현명함도 필요하다.아토피 피부염이나
신경
성 피부염 같은 피부질환에는 자외선을 이용한 광선치료요법이 쓰인다. 양 원장은 “피부의 독소물질을 제거해 염증반응을 완화시키면 가려움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양모 같은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중간집합소 격인 후구의 사구체에 모인다. 박 교수의 표현을 빌자면 이때에도 ‘빨간
신경
은 빨간 정류장에만 모이듯’ 저마다 맡고 있는 냄새 분자에 따라 이동경로를 달리한다. 전기신호가 뇌로 전달되면, 뇌에서는 각각의 신호를 조합해 ‘어떤’ 냄새인지를 인지한다.“후각 수용체가 특정 냄새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