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루빅스 큐브는 각 면을 회전시켜서 여섯 면을 섞고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퍼즐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처음 접했을 때 쉽게 풀 ... 이동의 역공식을 사용하면 바뀐 조각을 이전 조각이 있던 자리로 보낼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방법으로 루빅스 큐브를 직접 맞춰보세요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없기 때문이다. 핵분열 반응을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소는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원리 │ 원자핵과 원자핵을 충돌시킨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우선 원자핵을 둘러싼 전자껍질을 벗겨내고, 이들을 충돌시켜야 한다. 이때는 원자핵끼리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다른 연구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이뤄진다. 보통은 하나의 연구결과를 내기 위해 여러 연구자들이 서로의 전문 분야에 맞게 연구를 분담해 진행한다. 하지만 알고리즘 개발에서의 협업은 팀 내 경쟁과 같다. 이 선임연구원은 “팀원들이 각자 알고리즘을 만들어 오면, 그중 어떤 알고리즘이 가장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라이다는 외제차 한 대 가격과 맞먹을 정도로 비싼데,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려면 여러 대가 필요하다. 자동차보다 센서가 더 비싼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에 ‘테슬라’ 같은 자율주행차 양산을 준비하는 업체들은 레이더, 스테레오 카메라 등 다른 센서를 활용하는 추세다.임 교수는 그중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고리를 다 채울 수 있어요. 그러면 1초마다 최대 4천만 번씩 충돌이 일어나지요. 그 결과 여러 입자들이 나오면, 충돌 지점 주변에 있는 ‘검출기’가 입자의 에너지 등을 측정해요. 검출기는 매우 작은 입자들의 특징을 어떻게 잡아낼까요? 7월 15일 자에 실릴 3화에서 알아봐요! *용어정리전하 ... ...
-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의아할 텐데요, 형평성을 위해 연재 기사에 등장하는 수학자는 제외하고 조사했답니다.여러분은 어떤 수학동아 기사가 가장 기억에 남나요? 떠오르는 기사가 있다면 지금 바로 다시 한번 읽어보세요! 처음 읽었을 때를 추억할 수도 있고, 그때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도 있을 겁니다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직업을 찾은 분들도 만나봤습니다. 두 분이 어떤 기준으로 새 직업을 찾았는지 듣다보면 여러분도 진로를 찾을 방법을 알게 될지 모릅니다. 자, 집중~! 당신을 바꾸는 마법의 시간 3개월안녕하세요, 수학 교사였다가 현재는 소설가이자 아마추어 복서로 활동 중인 설재인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섣부른 비유가 오해를 불러오기 쉽다.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다.그래서 현대물리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이 연구하고 있다는 응집물질물리학 관련 대중서도 지금까지 없었다. 국내는 물론이고 과학 선진국이라고 하는 국가를 통틀어도 그런 책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이 가운데,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압축하는 디지털 이미지 형식이 등장했지만, GIF는 틈새시장에서 살아남았어요. 비결은 여러 장의 이미지를 웹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반복 재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 있어요. 움짤을 만들고 퍼뜨릴 핵심 수단이 된 거예요. 덕분에 기피는 전세계 검색량의 15~20%를 차지하며 구글 다음으로 인기 있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림을 보면 점이나 선, 도형들이 움직여 보이기도 하고, 하나의 그림인데 보기에 따라 여러 개로 보이기도 하지요. 먼저 그림을 요리조리 보며 착시를 체험해 보세요. 그런 다음 그림 아래의 설명을 보면 왜 착시가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색 착시를 일으키는 ‘벤함의 팽이’도 있어요.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