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안 돼요.”짐을 하나씩 풀어보던 검역관들이 반입 금지된 식품을 한 보따리 발견했다.
옆
에서 보던 검역원 김명수 과장이 “모두 압수 대상”이라고 설명한다. 이 식품들은 검역소 냉동 창고에 보관하다 매주 2번 소각장으로 싣고 가 한꺼번에 폐기 처리한다.때로는 X선 카메라보다 탐지견이 더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지키기 위해 뿜어 내는 살균물질이 라고요. 균이나 잡초 같은 침입자들이 바로
옆
에 자라면 땅에서 받는 영양분을 고스란히 뺏기게 되요. 그래서 그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피톤치드를 뿜어 내는 거라고요. 못 믿겠으면 다음에 소나무 숲에 갈 때 소나무 주변의 땅을 한번 살펴보세요. 솔잎만 수북히 ... ...
벼락이 모진 놈 좋아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장마에는 벼락이 잦다. 벼락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구름과 구름,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에 생기는 방전현상의 일종으로 땅으로 떨어지는 ... 잘 떨어진다.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칠 때 벼락도 지름길을 택하는 까닭이다. 그러니 ‘모진 놈
옆
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는 속담이 맞는 셈이다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실험까지 성공했다. 길이 12m의 이 로켓은 수직으로 상승해 공중에서 몇 초 동안 머물다가
옆
으로 이동한 뒤 다시 땅으로 내려왔다. 총 비행시간은 62초로 짧았지만 태권V와 가장 비슷하게 비행했다. 이 기술이 좀더 발전한다면 태권V에 직접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에는 태권V가 기술적 어려움을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미첼은 어려서부터 천문학에 친숙해질 수 있었다. 아버지가 별을 관측하면 그는 항상
옆
에서 조수 노릇을 했다.18세 때 그는 마을 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했다. 비록 천문학을 좋아한 그였지만 천문학자가 될 생각은 꿈에도 하지 못했다. 미국에는 그때까지 여성 천문학자가 없었기 때문에 여성은 ... ...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갈등한다. 계단으로 걸어 올라갈 것인지, 에스컬레이터에 몸을 실을지. 만약 이 둘
옆
에 무빙워크가 있다면 어떨까? 아마도 많은 경우 무빙워크를 선택하지 않을까.가만히 서 있어도 걷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빙워크는 계단보다 편하다. 또 직접 걸어도 에스컬레이터보다 에너지가 덜 든다. 무거운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솥 모양으로 만들었을까요? 평평한 해시계의 그림자는 아침과 오후에 그림자가 길게
옆
으로 누워 모양이 찌그러져 시간이 부정확해지는 단점이 있었어요. 세종대의 과학자들은 바로 오목한 솥 모양의 해시계를 만들어 이런 점을 극복했어요. 바닥이 둥글면 그림자가 길게 늘어지지 않으니까요.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때문에 시야각 문제가 있었다. 가령 TV를 정면에서 보면 ‘붉은 악마’인데 양
옆
에서 보면 ‘검은 악마’다.TN 방식은 두 편광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수평으로 놓인 액정 분자가 수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편광판과 배열 방향만 같고 각도가 틀어진 빛이 나오기 때문에 시청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 ...
상식을 깨자, 마음껏 즐기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지날 때 좋다. 하지만 장화를 신고 벗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하지만 ‘손잡이 장화’는
옆
에 달린 손잡이를 잡고 발을 넣어 두 손으로 쑥 당기기만 하면 된다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오는데 강북은 해가 쨍쨍 내리쬘 때가 있지요? 또 내가 사는 동네와 친구가 사는 바로
옆
동네의 날씨가 다를 때도 많아요. 이렇게 위치나 지형에 따라 변하는 기상정보를 3시간 간격으로 알려 주는 예보시스템이 디지털예보예요.- 디지털예보는 어떻게 만드나요?우리나라 3만 7000여 개 지점의 날씨를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