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정식 다시 보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2뭇, 중품 3뭇, 하품 1뭇에서 34말의 쌀이 나왔다고 쇠돌이와 개동이가 대답했다. "그러면 우선 하품 1뭇에서 몇 말의 쌀이 나오는지 계산해보자. 음…,2.75말의 쌀이 나오겠네."*여기서 1말=18039ml=18.039L이 문제를 우리가 배우는 방정식에 빗대어 생각해보면 상품은 x, 중품은 y, 하품은 z라 둘 수 있습니다. ... ...
- PART 1-1 내 마음을 맞혀봐, 게스 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정한 동물을 맞히는 게임입니다. 물론 그냥 맞힐 수는 없겠죠.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우선 게임 판에 있는 24가지 동물 중 마음에 드는 동물을 하나 또는 둘 선택합니다. 하나를 맞히는 게임은 조금 시시할 수도 있습니다. 질문을 몇 개만 해도 상대방이 선택한 동물을 맞힐 수 있거든요.그렇지만 두 ...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찾고 있다. 미래인터넷이 꿈꾸는 세상미래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지면 무엇이 좋아질까? 우선 디도스 공격 시 나타나는 패턴과 같은 특성을 수리과학적인 방법으로 파악해 공격을 감지해낸다. 이를 감지한 시스템은 중간에서 접속이나 데이터를 분산시켜 공격을 근본적으로 막아낸다. 한 번만 ...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쓰이지만, 빛과 관련된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추고 있는 과학의 산물이다. 선글라스는 우선 햇빛 속에 들어 있는 자외선을 차단한다. 또한 강렬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뿐 아니라 특정한 진동수의 빛을 제거하기도 한다.선글라스는 렌즈에 편광필터를 덮어서 만든다. 편광필터를 만드는 가장 ...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여전히 허용량 이상의 제품이 나오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체르노빌과 다르다. 우선 방출된 방사선의 양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적다. 더구나 국내 검출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다. 다만 한 번 배출돼 침착되기 시작한 방사성 물질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려야 ...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유명한 벨기에의 지휘자 필립 헤레베헤는 전공이 의학이다.법조계도 마찬가지다. 우선 특허 업무를 전문으로 다루는 변리사들이 있다. 이들은 과학기술인이 한 발명이 특허권을 얻어 권리와 이익을 보장 받을 수 있게 돕는다. 이와 비슷하지만 더 적극적으로 과학기술인의 입장을 대변해 주는 ...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점박이밤나방은 털이 전혀 없는 대신 몸이 말랑말랑하다. 자극을 주면 몸을 우선 동그랗게 말은 후 바닥으로 또르르 굴러 떨어진다. 사람과 비교해보면 20~30층 높이에서 떨어지는 것과 같다. 하지만 이 애벌레들은 겉이 부드러운 막으로 둘러싸여 있어 떨어질 때 받는 충격을 흡수한다. 강도는 낮으나 ... ...
- PART 2 달인의 노하우, 전격 공개하다! : 변형 보드게임 만들기, 4단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왔다고 하니까, 수학동아 독자들을 위해 달인의 노하우를 큰마음 먹고 공개하죠.우선 보드게임을 변형하려면 게임을 많이 해봐야 합니다. 게임을 충분히 가지고 놀아봐야 새로운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도 떠오르는 법! 충분히 가지고 놀았다면, 이제 보드게임을 변형하기 위한 기본적인 ... ...
- I-빔 타일 깔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없이 타일 깔기가 가능하고 또 어떤 크기에서는 불가능한지 그것을 알고 싶을 것이다. 우선 ‘속선 없이’의 조건이 없이, 도미노로 잘 깔리는 직사각형판의 조건부터 알아야겠다.문제 12×1 도미노로 겹치지 않게 잘 깔 수 있는 m×n 크기의 체스판은 m 또는 n이 짝수인 것들임을 보여라.이제 속선 없이 ...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같은 취미를 즐기며 우정을 다지는 방법을 제시했다.교수들도 학생들의 입장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대화하려는 모습이 역력했다. 이덕주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옛 성현들이 바람, 물 같은 자연을 예로 들어 교훈을 가르쳤듯이, 공학을 활용해 친근하게 다가서려고 한다”며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