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d라이브러리
"
응용
"(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측정하는데 쓰이는 SPM의 탐침을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도가 큰 물질로 만들어 나노가공에
응용
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는 3차원 나노가공 기술이 상용화될 때 비로소 나노산업이 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있다. GMR 현상을 이용한 하드디스크 헤드가 1997년에 이미 상품화됐을 정도로 빠르게
응용
되고 있다. 2010년 D램 완전 대체M램은 수nm의 나노박막이 갖는 GMR 현상을 이용한다. 이는 비휘발성이라는 장점은 물론 수nm의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집적을 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또한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 방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개념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그
응용
가능성 만큼은 무궁무진해 보인다.생명이란 무엇인가?인공생명 로봇은 아직 그 구체적 성과물이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물체에게 좀더 가까이 다가서려는 인공생명 로봇은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생체분광학 기술이 자리잡고 있다.직장 건강검진 피 안뽑고 가능삼성종합기술원 메디컬
응용
팀에서는 생체분광학의 중간단계로 혈액은 뽑지만 시약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팀이 관심 갖는 주제 중 하나인 생화학검사를 살펴보자. 병원에서 검진을 받을 때 생화학검사 항목으로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질병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항암제 투여에 현재
응용
되고 있다.현재까지 개발된 항암제의 투여 방법은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항원 수용체를 약물에 부착시켜 항암제가 암세포만을 인식해 약물이 암세포와 반응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 방법도 항암제가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필요할까. 답은 나노소재다. 현재 나노소재는 하드디스크 헤드와 자외선 차단제에
응용
되고 있다.1980년대 후반에 등장한 초기 휴대폰은 오늘날 사람들의 눈에 마치 골동품처럼 비친다. 한때 유행했던 시트콤에는 들기에도 버거워보이는 초기의 휴대폰이 웃음거리로 등장하기도 했다. 손안에서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그 변천과정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진화 알고리즘을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응용
하면 실제 작동에 필요없는 군더더기 부분은 없어지고 핵심 기능만 골라낼 수 있다. 작동 방식과 계산 과정이 복잡한 거대 프로그램을 슬림화시킬수 있다는 말이다.진화 생물학자인 토마스 레이가 개발한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2010년에는 3백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 중 유전공학기술을
응용
한 GM 작물의 종자 시장 규모는 2000년 30억 달러에 머물렀으나, 2010년에는 2백50억 달러 규모의 시장 형성을 예측하고 있다. 이는 작물의 상당 부분, 즉 80%가 GM 작물로 대체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2010년쯤 우리 식탁의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를 액포로 보내 저장하는 능력을 갖는 단백질을 생산해낸다. 만약 이를 실제로
응용
하면 고농도의 염이 함유된 용수지나 바닷물을 메워 개간한 간척지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내는 작물이 탄생하게 된다.이런 추세와는 달리 최근 GM 작물은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2000년에 비타민A를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분야이기도하다. 만약 단백질이 접히는 메커니즘이 밝혀진다면, 이는 곧바로 신약개발에
응용
될 수 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지는 현재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접히는 모양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지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려면 그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