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점 이용해 유기태양전지 효율 18% 끌어올려
2016.02.23
안정성이 떨어지는 탓에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ITO 전극위에 양자점(위
그림
노란색 원)을 단일층으로 올리면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 KIST 제공 연구진은 유기태양전지에 주로 쓰이는 인듐주석산화물(ITO) 전극 위에 빛을 잘 흡수하는 산화아연 ... ...
우주 한복판에 떠 있는 거대한 ‘벌집 망원경’
2016.02.21
우주선에 실리고, 발사 후 라그랑주 점까지 항해하는 동안 단계별로 펼쳐진다. ※
그림
참조 (크게보기) 사이언스 제공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발사 후 29일이 지나면 라그랑주 점에 도착하고, 그동안 정확히 관측하지 못했던 먼 우주를 관측하게 된다. 찰스 마티아스 마운틴 미국 ... ...
그래핀 위에 인간 줄기세포 배양 첫 성공
2016.02.16
교수(가운데)와 이현아 연구원(왼쪽), 남동규 연구원(오른쪽)이 그래핀 지지체(모니터
그림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UNIST 제공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위에서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로 얻은 줄기세포는 감염 위험이 없다는 점에서 ... ...
해외 우리 옛 명화, 디지털로 돌아오다
동아일보
l
2016.02.16
환해졌다. 주최 측은 해외 미술관 보유 작품의 초고해상도 디지털 사본을 입수한 뒤
그림
속 대상을 움직이게 만들거나 붓 터치를 보여주는 등의 변형을 가하고 배경음악을 입혔다. 해외에 있는 우리 전통 명화는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해외 미술관에서도 특별 전시 때가 아니면 ... ...
요소 한방울로 피운 눈꽃…“화학이 예술이죠”
2016.02.16
방이 있다. 재료의 화학적 특성을 활용하는 요소 결정 기법은
그림
을 그린다기보다는
그림
이 스스로 자라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 특징이다. 화학원소를 상징하는 구리 조각 50개를 철사로 연결해 만든 ‘밸런스 트리(Balance Tree)’도 눈에 띈다. 길 작가는 “화학 연구에 필요한 원소들을 연결해 ... ...
‘무어의 법칙’은 끝나도 기술 발전은 계속된다
2016.02.14
다음 칩으로 건너가고 있다. 칩이 공간에 떠 있어 사람의 모습은 위태로워 보인다. 이
그림
은 이번 주 네이처에 실린 뉴스를 설명한 것이다. 뉴스에서는 ‘무어의 법칙’ 이후 컴퓨터 산업이 나아갈 방법을 제시했다. 무어의 법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상의 트랜지스터 성능이 18개월 마다 ... ...
“왕을 위한 화장실” 런던의 전망 최고 화장실
팝뉴스
l
2016.02.13
있는 사진은 런던의 한 고층 빌딩 화장실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웬만한 빌딩 보다 높고
그림
도 좋다. 한 영국인은 런던에 이렇게 전망이 뛰어난 곳은 없다면서 감탄했다. “왕을 위한 최고급 화장실”이라고 찬사를 보내는 이도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애견과 함께 살기 전후 비교
그림
‘인기’
팝뉴스
l
2016.02.13
작품이다. ‘마이마이’라는 골든리트리버와 함께 살기 전과 후를 비교한
그림
들이 해외 네티즌들의 큰 공감을 산다. 최근에는 고양이 등 다른 동물도 입양되었다. 반려견이 없을 때는 조용하고 깨끗하다. 반면 적적한 것도 사실이다. 강아지와 함께 살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 달라진다. 훨씬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①
과학동아
l
2016.02.12
모드와 B-모드 두 가지가 생기는데 오직 B-모드만이 중력파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아래
그림
참조). 바이셉2 망원경의 센서 그런데 이번에 연구팀이 드디어 우주배경복사에서 B-모드 편광성분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에서 바이셉2라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하늘 전체의 약 1∼5˚(보름달 ... ...
[2003년]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2016.02.12
작은 변화 감지 우리는 흔히 상대론적으로 블랙홀을 기술할 때 휜 시공간으로 묘사한다(
그림
1). 중력파의 발생 _상대론적으로 무거운 별은 휜 시공간으로 기술되고, 초신성이 폭발하 며 블랙홀이 탄생할 때 휜 시공간에 잔물결 같은 중력파가 발생한다. 중력파는 바로 휜 시공간의 잔물결과 같은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