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발
기폭
기각
기장
기표
힘
기운
뉴스
"
기
"(으)로 총 1,97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원격 조종해 방사능 오염 원자로 해체
2015.01.30
닿아 핫스팟이 된 곳도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핫스팟을 모두 입력한 뒤 폐
기
물 양을 최소화하는 해체방식을 찾아내는 ‘3D 해체물량평가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김 팀장은 “사과를 깎을 때 썩은 부분부터 도려내듯 핫스팟부터 제거해야 작업시간도 단축하고 피폭 위험도 피할 수 ... ...
한국 로봇 ‘휴보’ 더 커지고 더 힘세졌다
2015.01.16
새롭게 공개된 ‘DRC 휴보 Ⅱ’의 모습. 머리에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설치했다. 정강이 아래쪽에 바퀴를 달아 급할 때는 주저앉아 바퀴로 이동할 ... 세계 19개 팀이 우승을 다툰다. 우리나라에서는 KAIST와 로봇
기
업 ‘로보티즈’, 서울대 융합과학
기
술대학원 박재흥 교수팀이 출전한다.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월요일 연재합니다. 2014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양자역학에 대한 다양한 이야
기
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김상욱 교수 KAIST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자과학, 정보물리, 통계물리 등을 ... ...
과학자로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은?
2015.01.11
중인 과학도에게 마지막으로 조언한다. “나는 당신이 지금 선택한 길에 끝까지 남
기
를 바랍니다. 당신이 가능한 한 최대한 멀리까지 그 길을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세상은 당신이 필요합니다. 그것도 몹시 절박하게.”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연구팀은 “불에 탄 흔적이 출토된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불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기
록이 충분하다”며 “지금까지 혜성 충돌설을 지지해온 흔적들은 사실 당시 신생대말 인류가 불을 사용한 흔적”이라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고고학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 ...
올해 科技·ICT 연구개발사업 한눈에 본다
2015.01.04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모습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올해 과학
기
술과 정보통신
기
술(ICT) 분야 연구개발(R&D)사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계획서가 나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 올해 예산안이 지난해 12월초에 확정되면서 새해 시작과 함께 R&D사업에 착수하
기
위해 연초에 발표했다. ... ...
“50㎝ 해상도 고성능 인공위성 국내
기
술로 개발”
2014.12.28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모습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우리나라가 2020년까지 고성능 중형 인공위성을 순수 국내
기
술로 개발한다. 여
기
서 얻은
기
술을 국내
기
업에 이 ... 미래부 장관은 “이번 사업은 지난 20년 간 축적된 국가 우주
기
술을 민간으로 이관하는 계
기
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나는 공부]“동아리 활동, 교실 밖으로 행진하라”
동아일보
l
2014.12.23
[동아일보] 겨울방학, 동아리 활동 어떻게 진화시킬까 “2년간 독서토론동아리에 참여했습니다. 매달 한 가지 주제를 정해 찬반 토론을 진행했습니 ...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모바일서비스 바로가
기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
기
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워너브러더스코리어 제공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SF영화 ‘인터스텔라’가 이달 13일
기
준 누적관객 950만 명을 넘겼다. 지난해 하반
기
에 개봉한 SF영화 ... 가졌던 적이 있었을까. 인터스텔라를 통해 고조된 과학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도 꾸준히 유지되길
기
대해 본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 ...
2020년 향해 나로우주센터는 업그레이드 중
2014.12.12
발사대 확충 등으로 전력 사용이 많아질 경우를 대비해 현재 3대 설치된 2.5MW급 발전
기
를 추가로 1
기
더 지을 계획이다. 이효근 항우연 나로우주센터장은 “모든 시험설비가 완공되는 2016년이면 한국형발사체 개발이 완연히 본궤도에 올라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