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뉴스
"
바로
"(으)로 총 8,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자의, 연구자에 의한, 연구자를 위한 부실학회 판정 플랫폼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이 연구원은 “예를 들면 학회 출장을 등록할 땐 범부처 연구비 통합관리 시스템(이지
바로
)에서 출장비를 등록해야 하는데 여기에 SAFE 검색창을 제공하면 손쉽게 부실학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희윤 KISTI 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부실학술활동으로 한국 ... ...
방사광가속기 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삽입장치, 빔라인 네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사진 속의 ‘PAL-XFEL’이라고 적힌 건물이
바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물이다. 신수빈 어린이과학동아 기자. 기초연구와 첨단산업 지원을 위한 방사광 가속기 추가로 짓는 사업이 추진된다. 첨단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경주 양성자가속기 성능을 ... ...
英옥스퍼드대팀, 30분내 검사하는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9) 여부를 30분 안에 판별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다. 복잡한 도구 없이 눈으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영국 옥스퍼드대는 장펭쿠이∙웨이황 생명공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30분 안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리보핵산(RNA) 및 RNA 조각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부르기 어렵다. 그 출발점이 정량화이다. 조리법의 계량화로 가장 크게 성공한 업체가
바로
맥도날드이다. 덕분에 맥도날드는 세계 어디서나 똑같은 맛을 내는 햄버거를 공장처럼 찍어낼 수 있었다. 아마 경제적으로는 비용도 크게 절감했을 것이다. 물론 공장식으로 찍어내는 햄버거가 최상의 맛을 ... ...
[팩트체크]WHO 팬데믹 선언 횟수 왜 엇갈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17
절차를 만들었다. 전염병 경보단계를 1~6단계로 나눠 심각성을 평가했다. 그 중 6단계가
바로
전 세계 유행병이 된 시기를 뜻하는 팬데믹이다. 이후 에볼라바이러스 위기를 겪으면서 전염병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005년 국제보건규정(IHR)을 마련하며 팬데믹 선언 절차를 한번 개정했다. WHO는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한다. 이는 여러 과업 중의 하나가 아니다. 진보냐 멸망이냐를 결정하는 모든 문제가
바로
이 과업에 달려있다’라고 하기도 했다. 물론 히틀러도 매독을 앓았다. 매독(梅毒)은 매화꽃 모양의 피부 궤양이 생기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가장 유명한 성병 중 하나라서 매춘부의 ‘매’를 연상하는 ... ...
바나나 속에서 찾은 반려견 ‘화제’
팝뉴스
l
2020.03.15
화제를 낳은 사진다. 바나나를 잘라서 먹다가 아주 친숙한 이미지를 발견했다고 하다.
바로
반려견의 얼굴이 바나나 속에 있었던 것이다. 반려견의 평소 표정은 짜증이 난 듯 찡그린 인상인데 바나나 속에 비슷한 얼굴이 있었다. 반려견 주인은 가족들이 크게 웃을 수 있었다고 한다. 바나나는 ... ...
분수대에 빠진 발레리나
팝뉴스
l
2020.03.14
물에 적신 후 고개를 빨리 젖히면, 머리가 원을 그리면서 예쁘게 보일 것이다. 여성은
바로
그런 장면을 원했다. 그런데 기대와 다른 장면이 결과되고 만다. 여성은 중심을 잃고 앞으로 고꾸라지고 말았다. 남녀를 불문하고 멋진 사진을 촬영하려다 체면과 스타일을 구기고 마는 사례가 참 많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블록체인은 과학을 구원할 수 있을까
2020.03.12
공정한 심사제도로 바꾸는 건 블록체인이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일 중 하나일 뿐이다.
바로
위에서 살펴봤듯이, 블록체인은 과학자 공동체의 규범 중 가장 첫번째인 공유주의를 현대에 되살려, 모두가 데이터를 공유하면서도 무한경쟁의 늪에 빠지지 않는 지혜를 제공한다. 또한 새로운 학술정보의 ... ...
"데이터는 정확히 알고 있다. 바이러스가 어디서 왔는지"…오픈데이터로 코로나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빠르게 해서 전세계와 공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한국은 환자의 시료를 연구에
바로
이용하기에 규제가 까다로운 편이다. 김 이사는 “시료 속 바이러스 게놈을 확보하려면 기관연구윤리위원회(IRB)를 통해야 하는데, 의사들이 방역 현장에 나가 있는 상황이라 개최가 쉽지 않아 게놈 해독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