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다. 그리고 그라운드 제로 지점에 도착하자 이곳의 나무들은 곳곳이 서 있었다고 한다.
바로
위에서 열폭풍이 불어왔기 때문에 쓰러지지 않은 것. 대신 곁가지들은 충격으로 다 잘려 나간 상태였고 열기로 나무가 타 멀리서보면 마치 전봇대가 촘촘히 박혀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1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답하면서 사물을 나누는 걸 좋아하는 것 같다. 이런 성향이 학문적으로 승화된 게
바로
분류학이다. 분류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이분법, 즉 첫째 고개는 오랫동안 “동물이냐? 식물이냐?” 하는 구분이었다. 17세기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미생물의 존재가 밝혀졌지만 사람들은 ‘동물이 아닌 건 다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말을 처음 쓴 사람도 라이프니츠다. 이 밖에 라이프니츠는 수학에 또 다른 기여를 했다.
바로
2진수를 발견한 것이다. 물론 2진수 역시 17세기 초 토머스 해리엇이 먼저 생각해내기는 했다. 정작 라이프니츠는 훗날 ‘주역’을 공부하면서 고대 중국인들이 음양을 통해 2진수 체계를 이해하고 있었다고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병이다. 1형 당뇨병, 류마티스관절염, 크론병, 다발성경화증 등 심각한 질환들이
바로
자가면역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은 원인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은데다 갈수록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 알레르기와 함께 ‘현대인의 질병’으로 불린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대체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독감 바이러스의 게놈에서 범용독감백신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냈다.
바로
M2라는 이온통로단백질의 유전자다. 바이러스 지질막에 박혀 있는 M2단백질은 정도를 벗어난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가 잘 보존돼 있다. 다만 헤마글루티닌이나 뉴라미니다제에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받아 감축 대상에서 유예돼 한동안 경제성장에 큰 지장을 없을 거라고 얘기하는 모습이
바로
그것이다. 지난해 11월 13일 독일의 재생가능에너지산업연구소(IWR)가 발표한 2011년 이산화탄소 배출 통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339억 톤으로 2010년에 비해 2.5%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다. 이 책은 2009년 한글판이 나왔다. ‘네이처’ 12월 6일자에 부고를 쓴 사람이
바로
슈빈으로 그는 자신의 스승에 대해 ‘촉’이 예민한 화석 사냥꾼이자 예술가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젠킨스는 수업 네 시간 전에 강의실에 들어오곤 했는데, 칠판에 완벽한 3차원 해부 구조를 그리기 위해서였다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탄생시켰다. 이듬해 성체의 체세포인 젖샘 세포의 핵을 치환해 탄생시킨 복제양이
바로
돌리다. 이들의 성공 요인은 캠벨이 핵치환을 하기 전에 체세포와 난자의 세포주기를 일치시켜야 재프로그래밍이 된다는 걸 간파했기 때문이다. 실제 윌머트는 복제양 돌리가 탄생하는데 캠벨의 기여도가 66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문구도 있지 않은가. 오스카 밀러(Oscar Miller)가
바로
그런 경우가 아닐까. 1925년 미국 가스토니아에서 태어난 밀러는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는 바람에 3년간 복무한 뒤 대학에 들어갔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에서 작물학으로 석사학위까지 받은 밀러는 담배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않았다. 결국 이 자체가 생식세포가 돼 수분이 일어나면서 4배체(AABB, 2n=4x=28)가 나왔다.
바로
야생 엠머밀로 이 사건은 길어야 50만 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야콥이 ‘빵의 역사’에서 언급한 엠머밀은 이 야생 엠머밀을 작물화한 것이다. 참고로 인류는 2배체인 일립계밀(einkorn wheat)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