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즉 열생성 정도도 일주리듬을 따른다는 말이다. 또 지방
세포
가 혈중포도당을 흡수해 지방으로 만든 뒤 저장하는 작업을 저녁에 더 왕성하게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저녁이나 야식은 지방으로 몸에 쌓일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 긍정적인 프레임 선호 1981년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질문을 놓고 벌어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서 “환경 요인, 유전 요인과 함께
세포
분열과정에서 임의로 일어나는 변이도 원인이라는 건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그 상대적인 중요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우리가 처음으로 그 일을 했고 암 발생에서 복제 변이의 비중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주로 시각이나 청각과 교감하는 IT기기와 달리 입는 로봇은 온 몸의 촉감이나 신경
세포
와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대체하거나 자극하는 기술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사람은 걷고 뛰고 쪼그려 앉는 등의 다양한 몸 동작을 일상생활 도중에 큰 자각 없이 수행한다. 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각막을 이식 받아야만 해결할 수 있었던 각막도 폴리머 소재로 만든다. 최근엔 줄기
세포
기술을 이용해 인공각막 배양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한 안과 기술도 눈에서 들어온 빛을 신경회로로 바꿔주는 망막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망막변성이나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이 소자는 초소형 전자부품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
세포
의 기능을 모방했다.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전자소자)를 이용해 전기신호로 청각신경을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인공와우와 달리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다양한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전공이 수의학이다 보니, 의학적인 것을 좀 더 공부해 보고 싶긴 해요. 지금 하는 연구는
세포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그만큼 장점도 있지만 실제로 생물에 얼마나 중요한지, 질병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어요. 기초과학에서 의학까지 다 아우를 수 있는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해석하거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현재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는 줄기
세포
의 경우 특정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이해하는 데 이런 실험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가까운 미래에 이렇게 상상할 수 있다고 말하는 조 단장은 "좀 더 세밀한 관점에서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전사가 일어나고 전사체(RNA단일가닥)나 역전사된 DNA이중가닥이 신호로 작용해 B
세포
를 성숙시켜 항체를 만들게 한다는 것. 이제는 고전이 된 리처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는 개체가 아니라 유전자를 생명의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켰다. 이에 따르면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쾰리커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난자와 정자가
세포
라는 것, 신경섬유가 가늘고 길게 뻗은
세포
라는 것을 밝힌 사람이다. 뢴트겐은 그의 손을 X선으로 찍어 손뼈가 선명하게 나타난 것을 보여주어 청중들을 경탄케 했는데 당시 한 언론은 이렇게 논평했다.‘X선의 발견은 과학의 여러 경이로운 업적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저명한 발생학자 발테 게링 바젤대 교수도 그리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한편 줄기
세포
분화의 대가인 일본의 사사이 요시키 박사는 젊은 과학자의 논문 조작 스캔들에 휘말려 극도의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지난 8월 5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7. 발터 게링 (1939. 3.20 ~ 2014. 5.29) 기형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