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소개"(으)로 총 2,7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2020.01.23
- 사이먼스, 동아일보(2014.3.10.),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40310/61561700/1 ※필자소개 이종필 입자이론 물리학자. 건국대 상허교양대학에서 교양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신의 입자를 찾아서》,《대통령을 위한 과학에세이》, 《물리학 클래식》,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아주 특별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2020.01.21
- 보인다. 이들의 공격은 이제 시작이라는 말이다. ‘네이처 리뷰 미생물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 ...
- 日언론 "한국의 일본 의존 탈피 성과 내고 있다" 평가연합뉴스 l2020.01.21
- 규제를 단행한 후에는 한국 대기업이 먼저 '탈(脫) 일본'을 위해 움직였다고 아사히는 소개했다. 이 신문은 삼성전자가 일본 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 약 220개를 골라 공급처를 일본 외 지역으로 전환하는 대책을 추진했다는 업계 관계자의 설명을 전했다. 그간 한국에서는 중소·중견기업이 ... ...
- "슈퍼박테리아 막을 항생제 사실상 없다" WHO 심각성 '경고' 동아사이언스 l2020.01.19
- 슈퍼박테리아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을 개발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보고서에 소개된 50개 파이프 라인 가운데 32개는 WHO가 앞서 2017년 내놓은 목록에 나온 우선 순위에 따라 개발되고 있다. WHO는 이들 약물이 기존 항생제보다 이점이 거의 없는데다 특히 슈퍼박테리아 치료용이 없음을 ...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2020.01.18
- 135-145. -https://www.unicef.or.kr/news/news_view.asp?idx=8923 -http://ekjm.org/journal/view.php?number=25614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2020.01.18
- 고고학자들은 이 방법으로 바이킹의 식단을 추적할 수 있었습니다. ※필자소개 고은별(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약점이 드러나는 순간 추락할지 모른다는 불안감2020.01.18
- of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1948550619882032.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1.17
- 있었다. 하지만 홍채진단법은 이를 주장하는 소수 학자들이 TV 건강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한 영상도 상당히 많았다. 전문가들은 과학적인지 아닌지 제대로 확인하지도 않고 사실인양 방송하고 있는 현실에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2020.01.17
- 액세스화하는 Plan S 발표, 저널 구독시대 종결될까 http://www.nibp.kr/xe/news2/122875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 ...
- ‘별찌’‘별떼’를 아십니까…"분단 75년 남북 과학용어라도 통일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01.16
- 이후 진행된 종합토론에서는 패널들이 속한 부처별 남북교류협력 추진 사업과 방향을 소개하고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연구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이 오고갔다. 김종열 한의학연구원 원장은 “한의학연은 남북 전통의학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남북전통약재기원사전 발간’등 다양한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