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스페셜
"
줄
"(으)로 총 1,7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에 삽입하는 전자신분증, ‘베리칩’이란?
KISTI
l
2013.05.02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나 국가도 마찬가지다. 베리칩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도 사실이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명분이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수집과 일상적인 감시는 인간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할 ... ...
충청권 기업인들 기술혁신을 위해 뭉쳐
KOITA
l
2013.04.30
대전충청 기술경영인 클럽의 활동은 지역소재 기업 경영 활성화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창립총회에서는 지난달 5일 창립위원회에서 추천된 ▷회장: 이혁렬 (주)에스폴리텍 대표, ▷감사: 김기영 (주)홀인원 대표, ▷사무총장: 김재문 (주)케이에스텍 대표에 대한 승인절차와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비즈니스에 쏟는 열정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습니다. 하지만 그런 수준의 에너지를 키워
줄
수 있는 환경이 척박해요. 정부는 기초과학 연구에 매진하며 성과를 낸 연구원들이 사업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연구능력 뿐 아니라 사업적인 안목도 갖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가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차원에서 기업의 부담을 덜어
줄
‘시스템’을 만들어 줘야 한다"며 한국화학연구원(화학연)의 독성시험 지원 프로그램(PK)을 사례로 꼽았다. 묵현상 대표는 “우리 회사에서 신약개발 실험을 하며 1억원 이상을 쏟아 부은 적이 있다”면서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
KAIST
l
2013.04.29
향했다. 이미 언더그라운드에서 전평이 나 있는 밴드인 만큼 이들의 공연은 관객이
줄
을 서 기다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었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이루어진 공연은 노천극장과 잔디밭보다는 한층 파워풀한 느낌이 강했다. 스탠딩 좌석의 반 이상이 사람들로 가득 찼고 조금 더 편한 자리를 찾아 ... ...
창조경제의 전초기지 대덕연구개발특구 화합 한마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D 허브로서 우수한 연구인력 등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조경제 실현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드리며, 정부에서도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되도록 최선의 정책적 지원을 하겠다”라고 격려했다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빛(광자)을 내보냄으로써 시각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내보냄으로써 청각 정보를
줄
수 있다. 반면 후각과 미각은 해당 감각을 주는 분자가 직접 감각기관인 코와 혀에 도달해 자극을 줘야 하는 화학적 감각이므로 컴퓨터가 이런 정보를 준다는 건 애당초 불가능한 얘기다. 이번 해프닝을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즉 단순히 영양 밸런스가 맞는 메뉴가 아니라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앞으로도 생명과학의 발견이 영양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데, 충돌하는 물체가 어떤 물질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운석을 남기느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번 러시아 유성체의 경우 주로 철로 이뤄진 단단한 물질이기 때문에 폭발에도 완전히 타버리지 않고 약 5% 정도가 수많은 운석으로 쪼개져 지구에 쏟아져 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는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람들에게 심각한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밀은 쌀이나 다른 곡물은
줄
수 없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도 든다. 눈 오는 날 베이커리 카페 창가에 앉아 오븐에서 갓 나온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