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4,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007
건물의 ‘조화’에 있다”고 말한다.도시 미관은 건물이 좌우“아무리 멋진 건물이라도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으면 아름답지 않습니다. 샹젤리제 거리가 아름다운 이유는 길 양옆에 늘어선 건물들이 높이가 모두 7~8층으로 비슷하고 지붕은 검은색의 천연 ‘점판암’, 외벽은 모두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대학교(MIT) 미디어랩은 최근 ‘식스센스’를 공개했어요(오른쪽 사진). 식스센스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카메라와 가상현실을 현실에 더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지요.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게 검지에 여러 가지 색의 캡을 끼우면 식스센스를 사용할 준비 끝~.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7
거리, 그리고 꿀벌의 소리 길이와 거리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나비의 날갯짓꽃
주변
에서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나비의 날갯짓에는 이유가 있다. 바로 천적인 새 때문이다. 새는 빠른 직선 운동을 한다. 이런 새에게 잡히지 않으려면 직선운동보다는 예상하기 어려운 곡선 모양으로 나는 ... ...
빛은 변덕쟁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편인가요? 지난 호 새 학기 기획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를 읽은 친구들이라면 ... 사소한 변화도 놓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화가와 과학자는 서로닮지 않았나요?친구들도
주변
의 작은 변화라도 주의 깊게 관찰하는 습관을 가져 보세요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07
그리기 위해서 원의 둘레나 넓이를 알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이런 활동은 우리
주변
에 있는 사물을 수학으로 생각해 사물의 성질과 왜 그런 모양으로 만들어졌는지 알아 내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학 능력뿐 아니라 수학으로 생각하는 능력도 갖추게 됩니다.이유2 추리 능력이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07
현재까지 우리 은하 주위를 돌고 있는 왜소은하는 10여 개만 알려져 있다. 우리 은하
주변
에서처럼 이론에서 예측하는 왜소은하와 관측되는 왜소은하의 개수 사이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행방불명된 왜소은하 문제’라 부른다. 이는 차가운 암흑물질의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서 설명할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07
변경해주거나 중력 슬링샷(gravitational slingshot)을 이용하면 된다. 중력 슬링샷은 탐사선이
주변
의 행성 같은 중력원을 이용해 속력을 배가시키는 방법으로 마치 새총(slingshot)이 작동하는 원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NASA가 계획하고 있는 초대형 우주범선이 실현되려면 돛 하중률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07
이로 인해 공변세포의 수분포텐셜이 낮아진다. 그러면 수분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변
세포의 물이 공변세포로 이동된다. 공변세포는 기공을 이루는 쪽의 세포벽이 두껍고 바깥쪽은 세포벽이 얇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며 안쪽보다 바깥쪽이 더 많이 부풀어 올라 가운데 기공이 열리는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1007
포목상 시절 옷감의 재질을 검사하면서 렌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던 그는 본격적으로
주변
의 모든 물건에 직접 깎은 렌즈를 들이댔다. 그의 현미경은 200~300배의 배율을 자랑했는데, 이는 200년은 지나야 만들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의 열정은 아흔이 넘어서까지 이어졌다. 레이우엔훅은 자신의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것이다. 오늘날의 한강은 1986년 끝난 한강종합개발사업의 결과다.모래를 파낸 뒤 강
주변
을 직선으로 정리해 콘크리트로 덮고, 1986년에는 잠실대교 하류 10m 지점에 920m 길이의 잠실 수중보를, 1987년에는 김포대교 바로 아래에 1007m 길이의 신곡 수중보를 지었다. 두 개의 수중보에 막힌 한강은 마치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