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각 한편씩 작성했다. 명현 군은
선택
주제 에세이가 까다로웠다고 했다. 두 가지
선택
주제 중 ‘지구가 멸망에 이를 수 있는 단초라고 지적되는 과학적 발명들은 역설적으로 인류과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혁신적 업적이기도 (…중략…)자칫 지구의 멸망과 관련될 수도 있는 여러분의 미래 전공에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합니다. 그런데 조명은 미적 감각만을 따져서 결정할 수가 없어요. 전기 용량에 맞게
선택
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전기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물론 전기 설계를 담당하시는 분이 따로 있지만,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설계를 하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어요. ... ...
숫자로 이뤄진 세상, 통계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www.kosis.kr)에 들어가면 누구나 원하는 통계자료를 검색해 볼 수 있다. 원하는 통계자료를
선택
하면, 자료를 정리한 표와 더불어 그래프로 그려 볼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통계와 친해질 수 있도록 재밌는 동영상과 만화까지 있어 통계를 쉽고 재밌게 체험할 수 있다. ‘통계’라고 하면 복잡한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기술과 은행 및 네트워크의 보안과 연관된 암호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7 취업을
선택
하면요?전기정보공학을 공부하면 전기 전자와 관련된 연구소와 산업체를 포함해 다양한 곳에 취업할 수 있다. 전기정보공학이 그 영역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가고 있고 전기정보공학이 필요한 분야는 점점 많아지고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니라 무학과로 입학 후 1학년 기초 과정을 들어보고 학과를
선택
한다. 은지 양이 UNIST를
선택
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정보가 많지 않은 고등학교 시절에 진로나 학과를 정해서 진학하는 것은 좀 불안했어요. 그런 면에서 대학에 들어와서 여러 전공과목을 들어보고 진로를 정하는 UNIST가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다. 폴은 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문제 ❶ 사형의 위기에서 벗어나다!“어떤 걸
선택
에도 사형이라니…. 어떻게 하지?”피타고라스는 초조하게 고민하는 폴을 재촉했다.“시간이 없네. 어서 대답하라고! 왼손? 오른손?”“밑져야 본전이지. 그렇다면….”폴이 왼손에 있던 종이를 달라고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직으로 내리 꽂히는 ‘탄도’궤도보다는 옆으로 약간 비껴 들어가는 ‘활공’궤도를
선택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방식은 민간 우주로켓을 귀환시킬 때도 쓴다.‘녹아내리기’ 방식도 있다. 재료로는 보통 실리카 피놀릭이란 물질이나 탄소-탄소 복합체 등을 많이 쓴다. 녹는점이 각각 2700℃, 370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하면 빛을 이용해 특정한 신경세포만
선택
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지도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뇌에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통신분야를 택했고 그 중에서도 수학을 많이 쓰고 연구할 거리도 많은 부호이론을
선택
했습니다.”부호이론 분야는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필수다. 때문에 응용수학분야에서도 많이 연구한다. 노 교수는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기위해 시간을 투자해서 집중하는 과정이 집중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뒤쪽에서 영상을 쏜다면 강한 빛을 쏴도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선택
된 것이 물 스크린이다.빛이 물을 만나면 산란하면서 사방으로 퍼진다. 덕분에 우리는 여러 방향에서 이 빛을 볼 수 있다. 산란은 빛이 먼지나 물 같은 미세 입자와 충돌해 흩어지는 현상으로 영국의 물리학자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