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분자기계로 뇌혈관 청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다른 부품을 만들어 ‘팔’과 ‘손가락’으로 장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성과
는 한창 무르익고 있는 나노 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갈 길은 아직도 멀기만 하다. 라이스대학의 콜버트 박사는 이 미세 장치가 훌륭하다고 얘기하면서도 “우리는 지금 걸음마 ... ...
은하의 총 개수는 1천2백50억개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이번 관측에서 더 많은 은하들이 발견될 것으로 미리 예측됐다. 그런데 특기할 만한
성과
는 은하의 모양에 대한 것이다. 새로 발견된 은하들은 잘 알려져 있는 대칭형(우리은하가 이에 해당)이나 나선형, 타원형이 아닌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들은 느슨하게 결합된 덩어리들이 무질서하게 ... ...
녹차가 암세포 성장 둔화시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녹차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많이 발표돼 왔다. 이 주장을 좀더 과학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실험결과가 미국 퍼듀대학의 도로시 ... 하지만 암세포가 tNOX의 활동이 억제됐을 때 결국 죽게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으로도 큰
성과
다. 과연 녹차는 자연이 인간에게 준 작은 선물일까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결과는 과학적 증거로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메타분석으로 얻은 괄목할만한
성과
는 호노턴의 텔레파시 실험분석이다. 호노턴의 노력 덕분에 ‘심리학 개론’의 1990년 개정판에 사이현상이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리처드 애트킨슨 등 4명이 집필한 이 책은 미국 대학생들의 심리학 교재로서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901년 최초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뢴트겐은 X선을 발견하기 전만해도 이렇다할 연구
성과
를 내지 못한 평범한 과학자였다. 독일 라인란트에서 직물상의 외아들로 태어난 그는 어머니의 조국인 네덜란드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 ...
미국, 이론 물리학의 중심이 되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대해 계속 말이 많았다. 가령 특정한 연구 분야에 수상자가 몰렸다거나 비슷한 연구
성과
에 대해 누구는 상을 받고 누구는 받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1965년에 세 명의 이론 물리학자, 미국의 파인만(1918-1991)과 슈윙거(1918-), 일본의 도모나가 (1906-1979)가 공동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이 세 사람의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도전해 자신의 이름이 붙은 혜성을 발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소행성은 화
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 수십만개가 흩어져 있다. 대부분은 크기가 수km에 지나지 않으나 가장 큰 소행성인 세레스는 지름이 약 9백km에 이른다. 1801년 세레스가 발견된 이래, 크 기가 크고 밝은 소행성들은 거의 모두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펼치는 수 준으로 발전했다. 이들은 충분한 내용 파악이 안된 상황에서 섣부르게 찬
성과
반대를 결정짓는 일 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스스로 깨달았다.한편 시민 패널이 이전까지 지녔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깨졌다는 점이 흥미롭다. 과 학기술자의 주장 역시 허점이 많았고, 자신의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기술이 여기서 나왔다. 월드 와이드 웹은 수천명 이상의 과학자가 있는 CERN 내부의 연구
성과
를 서로 쉽게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물론 일부러 만든 것은 아니지만 CERN의 규모를 미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월드 와이드 웹은 현재 인터넷과 같은 말로 쓰일 정도로 보편화됐지만, 아직도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마치고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고 있는 30대 연령층의 3세대. 하지만 이들이 40대에 어떤
성과
를 낼 수 있을지 현 단계에서 단언하기 어렵다.돌파구는 어디일까. 고등과학원은 기초과학 중 '장래가 가장 밝고 사람이 있는' 분야를 선별해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국내에 사람이 없다면 국적을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