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따라 다른 냄새를 구분하거나 냄새를 잘 맡게 된다.동물이 냄새를 맡을 때는 몇 가지 신경
세포
수용체의 신호가 합쳐져 특정패턴을 이루고 이러한 패턴에 맞춰 고유한 냄새 코드가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다양한 냄새를 맡기 위해서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다양하게 필요하다. 이 단백질을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눈치를 챘다. 이건 뇌야. 이 여자가 말하는 생각의 나무라는 건 뇌신경
세포
야. 신경
세포
사이에서 포자처럼 신경전달물질이 나와서 생각을 전달하지. 이 여자가 포자가 적은 사람이라고 하는 건……. 거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화가 치밀었다. 이 여자가 지금 사람을 뭘로 보고…….“ADHD라는 거군요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우리 자신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미생물과의 공생체다. 한 사람의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
로 이뤄져 있는데, 우리 몸 미생물의 수는 열 배에 달한다. 몸무게의 10%, 대변의 30%가 미생물이다.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을 중심으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컨소시움이 지난 3년간 연구한 결과에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아내인 릴리 잔 교수는 초파리의 성장과정의 생리반응을 관찰하던 중 애벌레의 신경
세포
에 달려 있는 수상돌기 끝에 다량 붙어 있는 단백질 NOMPC를 발견했다. 애벌레의 수상돌기에서 NOMPC를 떼어내고 자극을 줬더니 애벌레는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NOMPC를 이식하고 자극을 주자 인지하는 ... ...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는 야자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 안의
세포
는 더 오래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야자수의
세포
가 생명체의
세포
중에서 가장 수명이 길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톰린슨 교수는 “야자수에 불사의 비밀이 있다고 확언할 수는 없지만 다른 나무와 야자수가 왜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갖게 됐는지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식물은 기능성화장품이나 영양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연구원들이 채집한 약용식물에는
세포
독성 효과가 있는 엘레판토푸스(Elephantopus mollis), 뱀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이 있는 아리스톨로키아(Aristolochia grandiflora), 뿌리째 먹으면 항암효과가 있는 대극과(Euphorbiaceae) 식물 등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현상이 이미 밝혀져 있었다(아래 그림).이는 대부분 체내에 들어온 RNA 바이러스로부터
세포
를 방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즉 바이러스의 RNA를 직접 공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킨다.따라서 RNA 편집이 조금 일어났다고 해서 중심원리를 정면으로 부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청 교수의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고막과 뼈를 울린 진동이 신경으로 전달되며 느끼는 감각이고요. 코에 있는 냄새 감지
세포
는 후각을 담당하지요. 하지만 촉각은 전달 과정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어요. 이번에 제 몸에서 찾은 단백질이 촉각의 비밀을 풀 중요한 열쇠가 될 거예요.앗 그렇다면 내 몸에도 혹시?이번에 찾은 단백질은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DNA와 다채로운 기능으로 새롭게 주목 받는 RNA, 그리고 아직 인류가 합성하지 못하고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관점은 바뀌고 ... ...
살 빼려면 푹 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인슐린에 반응하는 인슐린 민감성도 30%까지 떨어졌어요. 인슐린 민감성이 떨어지면 지방
세포
가 에너지로 바뀌지 못하고 몸속에 그대로 쌓이지요. 즉 잠을 적게 자면 뚱뚱해지기 쉬워진다는 뜻이랍니다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