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 두 번째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블랙홀로 추정되는 대상이 존재한다고 ‘천문학 & 천체물리학’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자
들은 군집체에 속한 별들이 공간 속에서 함께 움직이는 현상을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가운데 블랙홀의 중력에 잡혀 이들이 동행한다는 것. 블랙홀은 크게 3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다. 태양보다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문을 열어 놔 수증기가 집안으로 퍼지는 정도로도 하루 분의 물기를 얻는데 충분하다.
연구자
들은 “조건이 맞을 경우 침대 매트리스에 최대 1백50만 마리의 진드기가 살 수 있다”며 “자고 난 뒤는 이불을 걷어 매트리스와 이불 사이에 습기를 없애는 게 이들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가운데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전체로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뇌량을 절단한 15세의 소년에게 행한 실험이 그 좋은 예다.
연구자
들은 수술 전 환자에게 각각의 손으로 정6면체를 그려보게 했다. 소년은 양손 모두 제대로 그렸는데 다만 왼손의 선(①)이 다소 흔들렸다. 오른손잡이이므로 예상되는 결과다.뇌량 절제 수술이 끝나고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유 중 하나다.최근들어 지금까지 연구성과와 계획이 입소문을 타고 알려지면서 해외
연구자
들로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의 한 주요연구기관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약속받기도 했다. 우연한 기회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기계학회 발표자로 나섰다가 아시아 기술의 현황을 파악하려고 나온 ... ...
소금쟁이 물에 뜨는 비결은 나노구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들어가도 물의 표면이 유지되고 몸무게의 15배까지 견딜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
들은 “다리의 미세한 털 사이와 나노홈에 공기방울이 잡혀 쿠션 역할을 한다”며 “우리의 발견은 물에 젖지 않는 소재를 만드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1월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덮어 더 이상 나노튜브가 관 모양으로 자라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나노튜브
연구자
들은 산소를 주입해 비정형 탄소를 제거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공 확률이 낮고, 산소로 인해 나노튜브가 산화된다는 단점까지 있다.하타 박사는 “우리는 탄소나노튜브에 해가 없는 더 약한 산화제가 ... ...
고대 로마 화장품, 처방은 현대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
연구자
들이 이 처방을 재현해 만든 크림은 흰색이다.
연구자
들은 “고대 로마의 여성들은 흰 피부를 선호했다”며 “사치스럽게 장식된 용기도 이 크림이 고급 화장품이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되지 않았을까.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이화여대 생물학과 여창열 교수는 “지난 2002년
연구자
들은 배아의 결절에 인공적인 흐름을 일으켜 유체가 오른쪽으로 흐르게 유도했다”며 “그 결과 심장이 오른쪽에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영국 런던대 심리학과의 크리스 맥마누스 교수는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분자로 구조에 따라 전도체 또는 반도체이다.
연구자
들은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정 교수는 “추가 실험을 하던 도중 DNA가 단일가닥이냐 이중가닥이냐에 따라서도 전류량이 달라짐을 확인했다”며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기조립을 이용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 분야는 이제 막 시작단계다. 그러나
연구자
들은 머지 않아 오늘날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재료와 소자,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MIT 생물학과의 수잔 린드크스트 교수는 이를 멋진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약 1만년 전, 인류는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