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d라이브러리
"
유일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주장한 사람들은 동물세계의 약육강식론을 근거로 내세웠다. 그들은 호랑이와 사자가
유일
하게 동일한 지역에 분포돼 있던 인도 서부지역의 예를 들고 있다.그곳에서는 사자가 거의 멸종단계에 이르러 불과 수십마리가 사람의 보호를 받고 있었다. 반면 호랑이는 해마다 종족을 크게 번식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중독이 비교적 많은 중금속에 대해 알아보자.수은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이루고 있는
유일
한 금속으로 실온에서 증발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쉽게 작업자에게 오염될 기회가 많다. 많은 사람들은 수은이 공기로부터 오염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장뿐만 아니라 학교실험실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결성, 정부특정연구사업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5인승경비행기 창공91호가
유일
하다. 초경량 항공기(Ultra Light Motor)라 할 수 있는 창공 2, 3호의 경험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다.90년부터는 항공우주연구소도 창공91호 개발에 참여할 예정인데 주로 시험검사 및 품질인증 관계의 일을 맡아서 ... ...
남극 에레버스 화산의 분출물 오존층 파괴의 주범일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남극에서
유일
한 활화산인 에레버스산의 분출물이 '남극 상공의 오존구성'의 원인일지도 모른다는 이론이 제기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에레버스(Erebus) 화산의 위치는 미국 맥머드 기지가 있는 로스섬.에레버스산의 분화구에서는 아주 미세한 순금의 분진이 눈덮인 남극대륙으로 내뿜어지고 있다는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1.3㎛파장 근처에서 약 0.2dB/㎞이고 1.55㎛파장에서 0.12dB/㎞이다. 만일 산란이 광섬유의
유일
한 감쇄원인이라면(실제로는 흡수 외경오차 그리고 외부영향에 따른 감쇄 원인이 있다) 최대 광신호 전송거리는 1백~3백㎞가 될 것이고 이 거리에서는 중계증폭기 없이 신호의 전송·수신이 가능하다.두번째로 ... ...
편집증의 정신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보면 그가 왜 그렇게 되었나를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제대로 정을 받지 못하고 자랐고
유일
하게 할아버지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은 듯 하다. 영화 속에서 범인은 언제나 혼자 요트에 있거나 바닷가에서 배 수리를 하는 등 딴 사람과의 인간관계가 전혀 없다.성장하면서 그는 부모들이 부부싸움하는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때의 결과를 실험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 실험실은 바로 우리 인류와 모든 생명체가 사는
유일
한 장소인 지구의 땅과 바다이다. 어떤 결과가 생길지 기다리고만 있는다면 이는 완전한 바보짓인 것이다. 물론 약간의 실험은 가능하다. 오존이 감소된 상태의 온실에서의 식물생육 등을 살필 수는 있는 ... ...
PARTⅡ 센서 SENS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실적은 미미한 상태이다. 포도당 측정용 센서가
유일
하게 실용화된 예이며, BOD센서는 실용화를 위한 연구단계에 있다.국내에서도 바이오센서의 기초가 되는 효소학 미생물학 생물학 분야는 오랜 경험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센서 분야의 ... ...
없앨 수 없는 것(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
한 일은 플라스틱을 적게 사용하거나 아예 쓰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서두에서 말했듯이 플라스틱은 대단히 유용한 것이다. 나는 해결책을 찾는 노력을 계속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Plastics are so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통해 서로의 안부를 묻고 활약상을 지켜봤던 것이다.해방 전 원홍구씨는 '3천만중
유일
'한 새학자였다. 한때 개성 송도고보에서 교편을 잡았던 그는 제자였던 정준택(북한의 부수상역임)씨의 도움으로 해방 후 김일성대학 생물학과 교수를 거쳐 북한과학원 생물학연구소장을 지냈다. 지난 70년에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