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림 앞에 우두커니 앉아 그림을 바라보거나, 공이 담긴 그릇 안으로 뛰어 들었다. 물줄기에 흥분해 날뛰기도 했고, 화면 속 튀어 오르는 플라스틱 원반을 찾아 내려고 디스플레이 밑으로 코를 넣어 킁킁대기도 했다.이런 행동에서 과연 개가 예술을 감상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글쎄, ‘예술이란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개체 선택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까? 마침 프라이스에게는 이 문제를 풀 단서를 알려줄 사람이 있었다. 게임 이론을 진화생물학에 도입한 논문을 막 출간한 해밀턴이었다.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 ...
- 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의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과연 DNA는 ‘그 날의 일’을 어디까지 말해줄 수 있을까. 과학수사의 최전방을 찾아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 ...
- 수학과 함께하는 행복한 시간, 2017 수학문화축전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승진 아주대학교 교수, 퍼즐수집가 강금만 씨가 기사에 실린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줄 거예요.기사에 나왔던 장난꾸러기가 만든 교통 미로도 직접 걸으며 탈출할 수 있게 대형 구조물로 설치될 예정이에요. 주사위를 굴려 길을 찾는 롤링 큐브 미로도 직접 해볼 수 있어요. 평소 퍼즐이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잉~! 꿀벌의 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요. 사바나예술대학교 학생 애나 할드왕이 벌 대신 꽃가루를 옮겨 줄 드론 ‘플랜비’를 디자인해 발표했답니다. 플랜비는 몸에 꽃가루를 붙이는 대신, 바닥에 뚫린 구멍으로 꽃가루를 청소기처럼 빨아들여 몸속에 저장해요. 그뒤 수정이 필요한 꽃으로 가서 저장된 꽃가루를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선택하면 끝이다. 시간에도,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새벽부터 몇 안 되는 투표장에 줄을 서서 투표하는 우리의 모습을 생각하면, 실로 엄청난 변화다.에스토니아뿐만이 아니다. 스페인의 신생정당인 포데모스는 2014년 블록체인 전자 투표를 통해 26명의 집행부를 선출했고, 덴마크의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어.성준: 만약에 K 교수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그럼 분석을 안 해줄 수도 있다는 거야?진원: 그럴 수도 있겠지. 만약 그렇다면… 이 학회에서 찬성하는 교수를 다시 찾아봐야겠지. 아, 시작한다. 집중해, 일단! Session 1. DNA를 보면 얼굴이 보인다DNA는 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00m 이상 이동시키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한 팀에게 약 565억원(5000만 달러)을 상금으로 줄 계획이다. 김 단장은 “일렉트론을 달까지 보내려면 현재의 2단이 아닌 3단 로켓으로 발사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엔진을 더 많이 묶거나 더 강한 엔진을 개발해서 추진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간이 걸렸다. 감격한 황제와 치클은 지구를 떠나기 전에 아기에게 보답으로 전수해 줄 만한 첨단 기술을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워프 항해법이나 상온 핵융합 기술은 아무래도 아기에게 이해시키기 어려웠다. 그래서, 두 사람은 앞으로 아기의 몸이 건강하고 튼튼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조작해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정책을 통해 흙 섭취를 반드시 줄이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 읽을거리Susan Allport, The Journal of Critical Food Studies, Vol.2 No.2, Spring 2002Lena HuebI et al., ‘Geophagy in Northern Ugand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