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바이 인공섬, 물고기에겐 지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심각했다. 팜 주메이라 지역의 경우 야자수 모양으로 이뤄진 섬 안쪽에 바닷물이 고여서
최대
42일까지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간이 있었다. 그 결과 부영양화가 일어나 용존산소량이 떨어지고 물이 탁해지는 등 수질 오염이 일어났다. 또 어류의 수와 다양성의 계절별 변동폭이 이전보다 커졌다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007년 제 4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21세기 말 지구의 평균 기온이
최대
6.4°C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로 인해 호우의 발생 횟수 증가,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 상승과 더불어 열대 폭풍의 정도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에 소개할 포트폴리오는 지구온난화와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➋)은 기울어지죠. 공간과 시간을 함께 이동하니까요.”“기울어지겠지.”“이 선의
최대
기울기는 45°입니다(➌). 빛의 속도죠.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물체는 빛의 속도에 근접도 하지 못하고 수직선 근처에서 맴돕니다. 하지만 빛의 속도를 넘어서게 되면.”“넘어서면?”“각도가 45° 이상으로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힘이 분산돼 잘 깨지지 않는다. 도 책임연구원은 “5대 국새의 강도는 3대, 4대와 비교해
최대
2배 이상 향상됐다”며 “1년에 5000회를 사용해도 100년 이상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리듐을 섞는 일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었다. 각 금속의 특성이 워낙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녹는점 차이가 ... ...
‘아라온호’, 깊은 바닷속 생생한 모습 촬영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서 촬영한 것이지요. 영상을 촬영한 고성능 무인심해잠수정에는 고화질 카메라와
최대
160㎏을 들 수 있는 로봇 팔이 달려있어요. 이 때문에 깊은 바닷속을 구석구석 살필 수 있었다고 해요.이번에 촬영된 심해저 열수광상은 바닷속의 온천 주변에 만들어진 광물 덩어리로, 금, 은, 구리 등 유용한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F1 선수는 일반 사람들이 상상하기 힘들 만큼의 한계에 도전한다. 선수는 커브 구간에서
최대
4.5G(중력가속도)에 이르는 힘을 견딘다. 일반적으로 2~3G를 1분 정도 느끼면 구토와 어지럼이 나타나고 3.5G가 넘어가면 의식을 잃는다. 1시간 30분 정도의 주행을 마치고 나면 F1 선수들은 보통 3kg 정도의 ...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동영상으로 제작해 ‘유튜브 스페이스랩(www.youtube.com/SpaceLab)’에 올리면 된다. 한 영상에
최대
세 가지 실험을 제안할 수 있다. 영상 접수는 12월 7일까지다.생명·환경과학을 체험하자한국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 ...
INTRO. 오케스트라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창조주여”라며 중세 성가에서 따온 노래를 시작합니다. 이제 한 시간 반에 걸쳐 세계
최대
규모의 공연이 이어질 거예요…. 안녕하세요. 저는 370년 전 이탈리아 크레모나 지방에서 태어난 바이올린 ‘ 아마티 ’예요. 여기는 오스트리아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8번 미국 초연 현장이고요. ... ...
5악장 - 피날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시 100년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하우스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이 시대
최대
규모의 연주가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군요. 20세기 초까지 오케스트라는 규모가 점점 커지고 음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발전해왔어요. 하지만 무조건 크다고 화음이 좋거나 감동적인 음악이 나오지는 않아요.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모세혈관 속도 거뜬하게 드나든다. 조명도 아이폰에 있는 LED면 충분하다.이 기술의
최대
장점은 당뇨병 환자들이 매번 혈당을 체크하려고 피를 뽑을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 기술을 개발한 미국 노스이스턴대의 헤더 클라크 교수팀은 현재 사진을 찍으면 바로 혈당 수치를 알려주는 앱을 개발하고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