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인해 우리나라에도 이상 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요. 저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석했어요. 이번 총회의 주제는 ‘기후변화와 지속가능 발전’이에요. 저는 6개 위원회 중 ‘물순환 위원회’에서 참여했어요. 본격적인 본회의가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사물 인터넷, CCTV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도시예요. 최근 스웨덴의 한 데이터분석회사가 발표한 ‘2017 스마트시티 지수’에서 덴마크 코펜하겐이 1위를 차지했어요. 코펜하겐은 2025년까지 100% ●탄소 중립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고 있어요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좌절감, 성취감은 무엇보다 값진 경험이다”며 “앞으로 살면서 부딪히는 문제도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원했어요. 메이커 프로젝트 제작물은 올해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에서 전시될 예정이랍니다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처럼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끝내 우주에 남아 있는 우주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해 궤도를 낮추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일단 우주쓰레기를 청소하는 큐브샛이 추력기의 힘을 이용해 쓰레기에 가까이 다가가요. 이후 큐브샛이 지구를 향해 움직이도록 추력기를 가동해 살짝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발라 수정을 막거나, 열매가 떨어지기 전에 수확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어요. 그래서 아예 길거리의 암나무를 수나무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어요. 문제는 은행나무가 어린 묘목일 때는 암수를 구별할 수 없다는 거예요.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은행나무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먼저 냄비에 물을 넣고 끓여요. 그리고 면과 스프를 넣어 익히지요. 이렇게 문제 해결 과정이나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해요.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기호와 도형으로 나타낸답니다. 코딩과 알고리즘을 배우면 ...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멘토가 자유롭게 의견을 덧붙여 이야기하는 자리였어요. 좌절했던 경험담에는 박수를, 해결하고 싶은 문제에는 조언을 하며 그 열기가 뜨거웠답니다. 말벌로부터 꿀벌을 지켜주기 위해 ‘꿀벌 보호통’을 만들고 있는 송지호 대원(개구리친구 팀)은 지금의 제작물을 만들기까지 겪였던 네 번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역사를 거쳐서 지금처럼 소중한 자원이 된 걸까요? 10명의 기자단 친구들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강의실에 모였어요. 도슨트 선생님께서 기원전 2000년 전 시작된 철의 역사부터 말씀해 주셨지요. “철은 지구에 가장 많이 있는 물질이에요. 그래서 철의 원료를 쉽게 얻을 수 있지요. 게다가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플랑크톤은 새우 등에게 먹히는 식으로 먹이사슬에 플라스틱이 쌓이지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쓰레기를 줄이는 수밖에 없어요. 개인용 컵을 들고 다니는 등, 생활 속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 주세요.” 제대로 나누고, 확실히 줄이고!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프래그 ... ...
- [현장취재①]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동물학대, 기후변화 등에 대해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힘써 달라”고 부탁했답니다. 강연에 참가한 지구사랑탐사대 이태경(서울 예원학교 1) 대원은 “작은 일이라도 환경을 위해 무언가 하자는 박사님의 말씀이 인상 깊었다”며, “음식물 남기지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