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뉴스
"
경로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긁으면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쥐는 고통스러워하기보다 온 몸을 계속 벅벅 긁었습니다. 가려움과 고통의 신호 전달
경로
가 서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입니다. 가려움이 괴로운 건 한번 긁으면 계속 긁고 싶고, 긁을수록 가려움이 더 심해진다는 겁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뇌는 이것을 통증으로 인식해 이 통증을 줄이려 ... ...
미세먼지로 가득 찬 거대 풍선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5
스모그 챔버는 바로 이 반응
경로
를 밝혀내는 장치다. 2차 생성 초미세먼지의 발생
경로
를 밝혀내는 연구 장비 스모그 챔버와 김화진 연구원. - KIST 제공 스모그 챔버 옆에는 AMS (Aerosol Mass Spectrometer)라는 기기가 있다. AMS는 공기 중에 있는 물질의 종류와 크기 등을 측정한다. 대기 중에 있는 ... ...
박테리아와 자석 입자로 나노 변신 로봇 개발... 고성능 약물 전달체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환경에 따라 환경을 인식하고 가장 적합한 형태로 스스로 변화해 정해진 위치나
경로
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며 “추진력이 강해 표적 세포를 뚫을 수 있는 등 약물 전달 효율도 탁월하다”고 밝혔다 ... ...
[뉴스 되짚어보기] ‘농작물’ 진화 시작은 3만 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org/content/341/6141/65?sid=72a295d0-e890-408a-a179-5179db46d209 ●리뷰 3 : 농업시대 초기 인구이동
경로
밝힌 고(古)게놈학 최근에는 유전자 해독, 분석이라는 막강한 무기가 있지요. 재미있게도 대상이 농작물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특히 고게놈학이 발달하면서, 화석이나 유골에서 직접 과거에 살던 사람의 ... ...
개에 물려서?... 패혈증 일으켜 사망 이르게 한 녹농균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17.10.24
때문에 정확한 감염
경로
를 알 수 없다. 하지만 녹농균의 특징을 미루어 보아 감염
경로
와 원인 등을 추측할 수는 있다. 첫 번째로 녹농균이 개 입 속에 있었을 가능성을 들 수 있다. 개가 김 씨를 무는 순간 개의 입 속에 있던 균이 상처를 통해 김 씨의 몸 속으로 들어갔을 가능성이다. 두 번째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네 번째
경로
는 강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연간 10~12TBq로 추정된다. 이 두
경로
는 앞의 두
경로
에 비해 양은 훨씬 적지만 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이 문제다. 즉 지금도 꾸준히 방사성핵종을 흘려보내고 있다는 말이다. 사고가 난 게 언제인데 어떻게 아직까지도 유출된다는 것일까. 원자력 발전 ... ...
부산 떨게한 붉은불개미…곤충 세계선 전투력 ‘하수’
동아사이언스
l
2017.10.13
농림축산식품부는 붉은붉개미가 분포하는 다양한 국가의 유전 정보를 모아 정밀한 유입
경로
를 조사할 계획이다. 붉은불개미로 의심되는 개미를 발견할 경우 농림축산검역본부 신고센터(054-912-0616)로 신고하면 된다.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16세기 경 무역항로가 개척되면서 지역별로 퍼지게 됐는데요. 붉은 불개미의 이동
경로
- University of lllinois 제공 앤드루 수아레즈 미국 일리노이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붉은불개미 192개 지역의 표본을 얻어유전자를 분석을 통해 스페인 범선의 무역 패턴을 추적해 밝혀냈고, 이를 2015년 2월 ... ...
산소 없이 후흡~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10.09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받는다”며 “사람의 세포도 위급 상황에서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경로
를 벌거숭이두더지쥐처럼 바꿀 수 있을지 확인하고 싶다”고 말했다. 히말라야 고산족 셰르파는 히말라야 산행 동반자로 오랫동안 활약해왔다. - GIB 제공 ● 저산소증 극복 위해 셰르파 연구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이유다. 2017년 10월 노벨화학상의 시작점이 된 전자현미경 분야였다. ● 헨더슨, 연구
경로
를 바꾸다 헨더슨은 X선 결정법에 대한 연구로 영국 캠브리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X선 결정법으로 세포를 둘러싼 멤브레인 막에 위치한 단백질을 결정화하는 방법을 찾고자했다.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