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식백지신탁 예외 공무원 생긴다...
우주
항공청 특별법 입법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윤석열 대통령이 미래
우주
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대한민국이
우주
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2045년까지의 정책방향을 담은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연 ... 전문성을 주도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공무원 체계를 도입하겠다”며 “연내
우주
항공청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방사선에도 문제없는 초저에너지 메모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윤준보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강민호 나노종합기술원 선임연구원과 공동으로
우주
부품 수준의 내방사선 특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보다 3만배 이상 프로그래밍 에너지가 낮은 나노 전자 기계식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김문정 △국립전파연구원 지원과장 김희원 △국립전파연구원 정보운영과장 이윤호 △
우주
전파센터장 나현준 △인터넷진흥과장 김단호 △네트워크안전기획과장 ... ...
누리호 엔진·아리랑 위성관제 시설 직접 살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지난해 6월 21일 2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발사 장면.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제공.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연구개발 현장 견학 프로그램이 3월부터 ... 시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과 젊은 학생들이 생생한 연구개발 현장을 둘러보며 하늘과
우주
를 향한 더 큰 꿈을 꾸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우주
·바이오 등 12대 전략기술 육성 위한 정책센터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차전지와 첨단 바이오,
우주
항공해양, 수소 등을 12대 국가전략기술로 꼽고 기술들을 육성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특별법 제정을 추진해왔다. 특별법에는 대통령 직속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해 범부처 차원의 강력한 ... ...
IBS 순수물리이론연구단 공동 연구단장에 야마구치 마사히데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며 “동시에 젊은 연구자들을 위한 개방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여
우주
론과 천체물리학계의 가시성을 높이는 데 IBS가 앞장설 수 있도록 하겠다”며 목표를 밝혔다. 앞서 IBS는 연구 경쟁력 강화 및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단의 클러스터화를 추진해왔다. 4개 ... ...
"출연연 연구자 정년 65세로 환원해 사기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산하 25개 과학기술 정부 출연연을 총괄하는 기관이다. 지난해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연구자 처우 논란을 계기로 출연연 연구자의 낮은 임금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저임금 탓에 중대한 국가적 과제와 지속가능한 사회적 과제 등의 연구를 수행해야 할 출연연이 인재 영입과 유지에 어려움을 ... ...
세계 최초 3D 프린팅
우주
로켓 내달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부상 중이다. 저렴한 비용을 무기로 다양한 수요를 끌어 안았다. 미 국방부와 미국항공
우주
국(NASA), 위성통신업체 이리듐 커뮤니케이션, 록히드마틴 등과 이미 발사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테란 1의 1회 발사 비용은 약 1200만 달러(약 135억원)가 들 것으로 추산된다. 랠러티비티 스페이스는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 탄생의 비밀 품은 소행성 '류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희귀 운석으로 약 46억년 전 태양계 초기 형성 물질로 추정된다. 지난해 9월에는 일본
우주
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연구팀이 류구 시료에서 액체 상태의 물을 발견한 연구 성과를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소금과 유기물 외에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탄산수 상태였다. 지구에 날아든 소행성이 물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제임스웹이 보여준 멋진 신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5
우리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더 길다.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더 먼
우주
깊은 곳 별을 관측할 수 있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고 있는 별빛일수록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줄리아 세이델 유럽남방천문대 연구원은 그동안 제임스웹이 밝힌 지구에서 70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