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붙여 과학 내용을 설명했답니다. 이번 책을 통해서 뇌의 구조와 기능을 가르쳐 주려는
건
아니에요. 다만 어린이들이 나와 내 친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들의 과학’을 담고 싶었어요. Q마지막으로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제가 중학교 1학년 때 가 창간됐고, 1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처음 찾아내며 외계행성학 분야에 문을 열었지요. 당시 외계행성을 직접 관측하는
건
불가능했어요. 스스로 빛을 내는 별과 달리 외계행성은 그렇지 않거든요.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중심별을 관찰해 외계행성의 흔적을 발견하려고 했어요. 외계행성이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면 둘 사이의 인력 ... ...
[만화뉴스] 지느러미로 싹쓸이? 혹등고래의 똑똑한 사냥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교수팀이 알래스카 남동쪽에서 찍었지요. 혹등고래의 사냥법을 이처럼 자세히 촬영한
건
처음이에요.혹등고래는 ‘거품 그물’이라는 사냥법으로 유명해요. 먹이 주위를 빙빙 돌며 날숨으로 거품을 만든 뒤, 거품벽에 물고기 떼를 가두지요. 그 후 입을 벌린 채 빠른 속도로 솟아 물고기를 떼로 ... ...
[통합과학교과서] 의 고구마 레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산소가 필요한 걸까요?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건
‘세포’예요. 세포는 영양분을 산소와 결합시켜 에너지를 만들어내죠.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숨을 쉬며 몸에 산소를 보충하는 거예요. 이 역할을 담당하는 신체기관이 바로 ‘폐’랍니다. 폐는 공기 중의 ... ...
전세계 열대우림이 몇 달째 활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일어난 산불을 표시한 지도. 붉게 표시된 점이 산불이 난 지점이다. 2019년에만 28만
건
이상의 산불이 남미에서 발생했으며, 이중 60% 정도가 아마존이 있는 브라질과 볼리비아에서 일어난 것이다.(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불로부터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발을 위해 고의로 지르는 산불은 1980년대 이후부터 매년 반복되고 있어요. 이대로 가다간 지구에 열대우림이 남아나지 않을 거예요. 초 ... 그래왔던 것처럼 열대우림을 파괴할 거예요. 작은 관심과 행동으로 함께 힘을 모아보는
건
어떨까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000년 전부터 인류와 함께한 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자철석의 특징을 이용해 길을 찾기도 했답니다. 이렇게 자철석으로 길을 찾을 수 있는
건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자철석이 지구 자기장에 따라 늘 같은 방향으로 놓이는 거죠. 고대 그리스에서는 ‘마그네시아’라는 지역에서 쉽게 자철석을 찾을 수 있었는데, ... ...
장기미제사
건
푼 DNA 분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토대로 용의자의 자백을 이끌어냈답니다. 서울대학교 법의학교실 이환영 부교수는 “사
건
당시에는 DNA 분석을 일본에 의뢰했지만 지금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유력 용의자를 찾을 수 있었던
건
, 강력 범죄자의 DNA를 보관하도록 한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푹 쉬면서 말했어요.“일단 늑대를 찾아가 보죠. 늑대가 빨간모자네에 원한이 있는
건
사실이니까.” [스토리] 멀쩡하던 마을이 물바다?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늑대를 찾아 길을 떠났어요. 그런데 웬일이래요?“아니, 원래 여기에 큰 강이 있었던가? 저기 뾰족하게 솟아있는 게 설마 지붕이야? ... ...
[만화뉴스] 네안데르탈인은 중이염을 달고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마르케스 교수팀이 이런 연구를 발표한
건
귓속 유스타키오관의 구조 때문이에요. 연구팀이 화석 자료 등을 토대로 네안데르탈인의 유스타키오관 구조를 복원한 결과, 세균이 호흡기에서 귀로 번지기 좋은 평평한 구조였지요. 현생 인류도 유아기엔 이와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