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이
아동
아이
어린시절
시절
소아
유아
d라이브러리
"
어린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배가된 것 같다"고 말했다.남도천문연구회의 회장을 맡고 있는 박종철씨도 나름대로
어린
천문인들 발굴에 여념이 없다. 성암자연학습원에 교육을 받으러 오는 학생들 중(연간 6만명) 천문에 관심을 보이고 자질을 갖춘 학생들을 따로 모아 본격적인 교육을 시킬 예정. 실제로 국민학생들 중에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가장 너른 터, 교실. 그러나 오늘의 과학교실은 과연 '탐구와 발견의 기쁨'에
어린
눈빛이 반짝이는 산 교육장일까요?「과학동아」는 올 92년 한해에 걸쳐 과학교사가 직접 쓴 글로 한국과학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자 합니다. 수업현장의 기쁨과 고뇌, 동료교사와 교육부에 대한 제안 등 교실에서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44세)의 '콩나물재배방법 및 그 장치'도 눈길을 끌었다.올해 우리나라 발명계를 돌아보면
어린
학생들도 어른들 못지않게 풍성한 결실을 거두었음을 금세 알 수 있다.광주문성중학교 1학년인 김형우군(13세)은 지난 3월 26일부터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청소년발명품전시회에 '못뽑이'를 출품, 영예의 ... ...
팽이 오래 돌리기놀이의 챔피언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팽이는 왜 서 있을 수 있는지 그 비밀을 찾아보자. 문제1 뱅그르르 도는 팽이는 우리를
어린
시절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게 해준다. 팽이놀이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누구의 팽이가 가장 오래 쓰러지지 않고 도는가로 판가름이 나는 놀이다. 왜 돌지 않는 팽이는 쓰러지고 마는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는 것들이다. 또한 이는 평범한 사람들도 한번쯤 의문을 품어봤을만한 주제들이다.
어린
시절 이 미궁에 빠져 과학자의 길로 들어선 사람도 많다. 독자들도 어렸을 때의 기억을 되살려, 우주탄생에서부터 현재까지 현대과학이 아직도 풀지못한 수수께끼에 다시 한번 도전해보자.태양계 10번째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SF의 감동때문이었다고 말한다. 오늘날에도 SF에 접근하게 되는 가장 쉬운 길은 SF동화나
어린
이용 SF만화일 것이다. 그러나 일반인용의 SF로 눈을 돌려보면 황무지나 다름없어 국내창작물은 열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며 번역된 작품들도 SF아닌 추리문고 선반에 꽂혀있기 일쑤다. 이에 대해 박상준씨는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해서 '악어의 트위스트'라는 말이 생겼다.짐승을 잡아먹는 악어는 다 자란 어른악어다.
어린
악어는 개구리 물고기 게 조개 등을 먹는다. 악어가 사람을 습격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보통은 사람을 피해서 달아난다는 것이 악어를 연구한 학자들의 말이다.그들은 5~10살이 되면 2,3m쯤 자라서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뼈를 하나 타고 흐른다. 그런데 파충류의 경우엔 두뼈 사이로 흐른다. 융합되기 전의
어린
오리너구리의 뼈를 관찰하면 3차신경이 뼈들 사이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매킨타이어씨는 오리너구리가 파충류라고 믿는다.그러나 논쟁은 계속될 것이다.Science CommentaryIn 1800, a stuffed animal arrived in England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않다. 이 제도는 특히 최근처럼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연구'를 중시하는 풍토에서는
어린
학생들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개별연구'는 연구중심의 대학(원)이라는 KAIST의 캐치프레이즈를 십분 반영하는 것이다. 학부 3학년이 되면 누구나 석사과정에서 다루는 분야를 자신의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테스트는 대성공이었고, 참가한 연구원들은 탄성을 멈출줄 몰랐다.성공의 장본인은
어린
시절 비행청소년의 첨단을 달린 존 배커스(John Backus)였다. 배커스는 고교시절, 자신이 마지막으로 다닌 고등학교가 어딘지도 모를 정도로 많은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거리를 배회하던 배커스는 군에 입대했다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