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규모가 커지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책임연구원은 “북한이 핵실험으로 규모 7.0 이상의 인공지진을 발생시킬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진의 규모는 보통 지진파의 진폭으로 알 수 있다. 진폭이 클수록 지진의 규모가 크다. 그런데 지진파의 진폭이 더 이상 커지지 않는 한계가 규모 7.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섭섭박사님이 돌연 벌떡 일어나 외쳤어요!“이번 실험은 요구르트 병 로켓이다!”로켓은 인공위성 같은 관측 장비를 우주로 운반하는 비행체를 말해요. 이런 로켓은 비행할 때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지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은 A물체가 B물체에 힘을 가하면, B물체 역시 A물체에 똑같은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분분합니다. 빈틈없는 복제품을 만드는 게 의미가 있냐는 것이지요. 이에 대해 연구팀은 인공지능의 기계 학습으로 실제 본인이 그린 것처럼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이니 단순 복제와는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마치 렘브란트가 이미지를 투영한 걸로 단순히 베껴 그렸다고 할 수 없다는 것처럼요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분자의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 드는 ‘인공근육’을 합성해 큰 주목을 받았다(왼쪽 그림). 인공근육은 로탁세인 기반의 분자체로, 구리이온(Cu+)을 만나면 길게 펴지고, 아연이온(Zn2+)을 만나면 줄어든다. 전체 길이의 27%가 줄어들며, 실제 우리 몸의 근육 단백질인 미오신의 움직임과 비슷하다.두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꺼낼 수 있었다. DHL에서 최초로 도입한 자동 하역 시스템이다.비킹 부사장은 “드론에 인공지능(AI), 스마트 기기, 무인자동차 기술 등이 결합하면 더 큰 혁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DHL 이노베이션센터에는 구글글래스 등 스마트 안경으로 증강현실(AR)을 구현해 물류창고를 관리하는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B에 구축된 질병 정보와 비교해 진단 후보를 제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비인후과용 인공지능을 구현한 것이다. 기존 장치에 비해 무게가 절반에 불과해 편리하고, 오진 가능성을 낮춰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장치 자체는 이미 개발된 기술을 활용했지만, 영상과 온도 정보를 ... ...
- [소프트웨어] 말하는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마찬가지로 난소 지지 세포를 추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야시 박사는 현재 이를 대체할 인공 용액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0월 7일자에 실렸다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원하는 곡을 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카메라가 달려있어 CCTV역할도 한다. 또한 스마트폰 인공지능 앱처럼 대화도 가능하다.평범하다고? 파이보는 이 모든 일을 컴퓨터를 연결 하지 않고 할 수 있다.현재 대부분의 제품은 컴퓨터 없이는 작동할 수 없다. 그러나 파이보는 웹상에서 프로그래밍한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