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높은 온도에서는 배아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유전자가 발현되고, 이로 인해 성 스위치가
작동
돼 수컷으로 성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는 얘기다.부화온도에 따라 암수 나눠져 또한 최근에는 실제로 SRY의 하위 단계에 발생 속도를 조절하는 유전자(DMRT1)가 있으며, 이 유전자의 발현이 온도에 의해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분기점이 존재하고, 일련의 선택을 통해 하나의 끌개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런
작동
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해도 결과를 예측하기는 힘들다.우리 사회의 현재 모습은 수없이 많은 안정적 가능성 중에 하나가 실현돼 있을 뿐이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이런 측면에서 큰 한계를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다. 따라서 고진공 펌프는 저진공 펌프로 먼저 초벌 배기한 후
작동
을 시작해야 하고,
작동
중에도 저진공 펌프로 배기구를 중진공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한편 대기와 접한 모든 재료의 표면은 질소나 산소와 같은 기체 분자들로 덮여 있다. 높은 진공 상태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용기 벽이나 재료의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희석 냉동기를 조합하는 방법이다. 즉 증발냉각기의 저온부에서 희석 냉동기를
작동
시키는 개념이다. 희석 냉동기는 헬륨4와 헬륨3의 혼합 기체를 냉매로 사용한다. 이 경우 K단위보다 훨씬 낮은 온도인 mK(${10}^{-3}$K)단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이렇듯 유체를 증발해 얻을 수 있는 극저온의 한계는 mK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등이 동원된다. 그러나 자기공명영상(MRI)은 쓸모가 없다. 이 기술은 수소원자에 반응해
작동
하지만 인체에서 물분자 형태로만 나타나는 수소를 건조한 미라에서 찾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물론 미라 처리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전유물은 아니다. 방부처리 풍습은 멕시코와 안데스까지 널리 퍼져 ... ...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최적의 실제 상황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로 인해 안에 있던 잉크가 노즐을 통해 밖으로 분사돼 나오는 것이 잉크젯프린터의
작동
원리다. 만약 용기를 가열하는 마이크로히터를 잘못 설계하면 잉크가 똑바로 분사되지 않으므로 프린터의 성능이 떨어진다. 연구실에서는 프린터가 최적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마이크로히터의 형상을 ... ...
올빼미족과 새벽족의 생물학적 차이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람에 비해 ‘Per3 유전자’가 짧았다. Per3 유전자는 뇌에서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부분을
작동
시키는데 관여한다.아처 박사는 “인간의 뇌는 명암 정보를 바탕으로 지구자전주기인 24시간에 생체시계를 맞춘다”며 “매일 인간은 생체시계를 조금씩 다시 조정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유전자로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화학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전환하는 효율이 100%에 가깝다. 때문에 NT에서는 이것의
작동
원리를 모방해 나노기계를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그러나 복잡한 생체 환경에서 알고자 하는 분자만의 움직임과 반응을 독립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발사대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다른 건물들과 떨어져 있다. 로켓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지 않을 경우 가능한 빠른 시간에 자폭시키는데, 발사대와 함께 파괴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연료와 산화제는 발사 직전에 주입되기 때문에 저장시설은 발사대 근처에 있다. 로켓은 발사 한달 전부터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현실적인 시간내에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적당치 않다. 유전알고리즘의
작동
메커니즘이 시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보통의 방법으로도 쉽게 풀리는 문제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시간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예를 들어 N개의 원소를 크기순으로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