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스닉 프리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애플에서 만든 세계 최초의 개인정보단말기(PDA)인 뉴턴 메시지패드와, 안경처럼 착용하는 컴퓨터인 구글 글래스처럼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거나 아직 우리나라에서 판매되지 않는 최첨단 기기를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주어지는 상으로, 한 달에 한 명에게만 수여된다.김 교수는 26년 전인 1988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해 동상을 수상하는 업적을 거뒀다. 그때부터 줄곧 수학자의 꿈을 놓지 않고 한 걸음씩 걸어온 결과, 전세계 수학자들이 주목하는 뛰어난 연구 결과를 내놓을 수 있었다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실제로 2012년 충북대학교 동물 바이오 신약 장기 개발사업단은 녹색 형광 소를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탄생시켰다. 이 소는 눈과 코, 혀와 발굽이 형광 녹색으로 빛난다. 연구팀이 형광 소를 생산한 이유는 소의 유전 형질을 변환해 인슐린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다. 바뀐 유전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용할 때 더 많은 골을 얻었다.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는 FIFA가 공인구를 지정했다. 최초의 공인구는 가죽조각 32개(검정색 오각형 12개·흰색 육각형 20개)를 이어붙인 ‘텔스타’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까지 패널 32개를 유지하다가, 2006년 독일월드컵 때부터 14개(트로피 모양 6개·프로펠러 모양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셈이다. 과학자들은 왜 그들이 직접 분석하지 않고 이곳에 의뢰하는 걸까.“GMC는 세계 최초로 세워진 공동 이용(open-access) 시스템입니다.”앙겔리스 원장이 말했다. 실제로 어떤 나라의 개인 연구자도 서류 한 장만으로 쥐 분석을 의뢰하고, 이곳을 직접 방문해 연구책임자와 의논할 수 있다. 독일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1999년 채핀 교수와 니코렐리스 교수, 쥐 뇌파를 로봇의 움직임으로 바꾸는 인터페이스를 최초로 개발. 2013년 미국 시카고대 재활연구소 연구팀, 사람의 신경계와 의족을 직접 연결해 생각만으로 인공다리를 움직이는 데 성공. 2000년 니코렐리스 교수, 원숭이 뇌파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데이비드 호그네스 교수가 색각에 관여하는 ‘인간 옵신유전자’의 서열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이로써 영장류의 색각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확장됐습니다.그 결과,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구세계원숭이와 신세계원숭이의 색각은 유전자부터 근본적으로 달랐던 겁니다.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작아져야 한다. 물질이 이 정도로 짧아야 빛과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최초의 투명망토도 파장이 약 3cm인 마이크로파에서 투명하게 보이기 위해 금속물질의 너비가 0.75cm 정도로 가늘어야 했다. 가시광선은 어떨까. 만약 파장 500nm의 초록빛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숨기려면, 메타물질 단위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인공위성이 잘 작동하는지 못하는지 엄격한 시선과 잣대로 판단할 거예요. 하지만 세계 최초의 개인 인공위성 개발자는 제 목표가 아니었어요. 인공위성 개발을 통해 던지고 싶었던 메시지는 따로 있어요. 또, 예술가라고 하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부분이 많아요. 예컨대 제가 이상한 행동을 해도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필바라’는 붉은 땅이 끝없이 펼쳐진 건조한 지역이다. 약 35억 년 전 광합성을 하는 최초의 생명체인 시아노박테리아(남조류)가 지구에 등장, 이들이 산소를 만들기 시작했다. 산소는 바닷물에 있던 철분과 결합해 산화철로 퇴적됐다. 이 퇴적층이 드러난 곳이 바로 필바라 지역이다. 이곳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