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만약 벨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오면 국소적 숨은 변수이론이 틀렸다는
결론
에 이르게 된다. 1982년 알랭 아스페는 두 개의 광자를 이용해 벨의 부등식이 틀렸음을 보인다. 양자역학이 맞았던 것이다. 이것은 우주가 국소적 실재성을 갖지 않음을 의미한다. 논리적으로는 국소성과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분열 횟수 데이터가 없어 위암과 유방암, 전립선암처럼 흔한 암들이 배제된 상태로 얻은
결론
은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 세 번째 서신은 논문이 적용한 줄기세포 분열 횟수 데이터도 믿을 만한 게 못 된다는 주장이고 그 다음 서신은 암 예방 노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줄기세포 분열과 오류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했는데요. 국방부는 경기도 양주 일대를 탐색했고 그 결과 '땅굴은 없다'라고
결론
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한 민간단체는 '한반도 전체에 땅굴이 바둑판처럼 퍼져 있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땅굴 괴담'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땅굴 괴담'은 작년뿐 아니라 2013년에도 ... ...
[신나는 공부]인성? 넓고도 좁다!
동아일보
l
2015.02.10
오해. 오직 ‘봉사활동’만이 인성을 평가할 만한 비교과활동이라고 단정 짓는 것이다.
결론
부터 말하면, 인성은 봉사활동뿐 아니라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자율활동의 모든 교내활동영역에서 평가된다. 이들 활동에서도 충분히 선의, 희생, 봉사정신을 포착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국중대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뜻) 지구의 D/H비율 0.00015보다 훨씬 높아 혜성이 지구 물의 기원일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
을 내리고 있다. 지난해 8월 1일 혜성 67P에 1000km까지 접근한 로제타는 수일 뒤 100km 이내까지 다가가 코마의 기체를 포집해 분석했다. 코마(coma)는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혜성에서 승화된 입자 무리로 뿌옇게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것이다. 그렇다면 대응원리가 맞는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
결론
을 이야기하자면 양자카오스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는 답은 아직 없다. ● 양자역학도 아니고 고전역학도 아닌 세상 카오스가 정말 존재하느냐의 논쟁이 다소 철학적으로 보일 수 있겠다. 하지만 이것은 ... ...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비슷한 맛을 집에서도 낼 수 있다. 그래서 직접 만들어보았다. 직접 만들어 본 뒤의
결론
, 요리에 소질이 없다면 허니버터칩의 인기밀도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리자.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이러한 안전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월성 1호기를 계속 운전할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
을 조속히 내려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은 경제적으로도 많은 이득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9년 사업자 자체 평가와 2014년 국회 예산정책처의 평가 모두에서 계속운전이 최소 1000억 원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보니 서로 겹치는 점도 발견됐다. 조사위는 그래프를 ‘창작’에 가까운 조작으로
결론
내렸다. 오보카타 박사의 e메일에서는 연구 부정에 대한 두려움도 드러났다. 그는 “실험 결과가 갑자기 잘 나오기 시작하는데, 그 이유를 몰라 무섭다”고 적었다. 조사위는 “이 즈음에 배아줄기세포가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나왔었다. “처음 논문을 실었던 셀 지에서 검증해 조작이 아니라 ‘실수’라고
결론
내렸다. 사진에 번호를 잘못 매겨(그는 mislabelling이라고 했다) 벌어진 일이었다. 과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재현성’의 문제도 해결했다. 내 논문을 토대로 두 연구진이 똑같은 결과를 낸 것이다. 미국 내에서 문제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