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각"(으)로 총 2,7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위치에서의 지진 강도, 남은 시간 알려 주는 스마트폰 앱동아사이언스 l2018.03.23
- 앱)을 개발했다. 이 앱은 사용자 위치에서 예상되는 진동과 피해 정도(진도), 지진 도달 시각까지 남은 시간, 행동요령 등을 함께 알려 준다. 지진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 수 있고, 현장 제보를 할 수도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개발한 스마트폰 지진조기경보 애플리케이션(앱)의 테스트 화면. ... ...
- [궁금한 이슈 why] 저커버그 결국 사과하기까지...페이스북 데이터 스캔들 총정리동아사이언스 l2018.03.22
-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사건이 터진 후 침묵으로 일관하다 21일 (현지시각)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그는 페이스북에 포스트를 올려 "우리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할 책임이 있고, 그렇지 못 하다면 서비스를 유지할 자격이 없다"며 "우리는 실수를 했고,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 ...
- 위장술 갑(甲), 갑오징어의 비밀과학동아 l2018.03.21
- 뒤에도 갑오징어는 피부의 돌기를 바위처럼 바꾸는 위장술을 1시간 이상 유지했다. 시각 신호 입력 없이도 갑오징어가 위장을 유지 할 수 있다는 뜻이다. wikimedia(cc) 연구팀은 갑오징어의 위장 관련 신경 회로가 오징어의 ‘훈색(무지개처럼 선이 분명하지 않고 희미한 빛깔)’ 신경 회로와 매우 ... ...
- 포켓몬 '고라파덕' 모델인 '오리너구리', 언제 처음 나타났나? 동아사이언스 l2018.03.21
- 고유종으로 분화됐으며, 이후 유전자 교류없이 현재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를 20일(현지시각) 학술지 ‘분자생물학과 진화’에 발표했다. 논문 제 1저자인 옥스퍼드대 인간유전학웰컨트러스트센터 피터 도넬리 교수는 “처음으로 (오리너구리) 전체 개체군의 규모와 유전자를 조사한 것”이라며 ... ...
- 자율주행 첫 보행자 사망사고, 원인은 '사람'?2018.03.20
- 증언했다. 우버의 자율주행 차량 - 최호섭 제공 이번 자율주행 사고를 두고 불안한 시각이 나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모빌아이 창업자 암논 샤슈아 박사는 지난해 자율주행 차량의 동작 알고리즘을 수학적으로 풀어 교통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발표하면서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가 ... ...
- 37억년 전, 화성에도 바다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3.20
-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지구및행성과학과 마이클 맨가 교수팀은 19일(현지시각) 화성에서 가장 큰 화산지형인 타르시스 고원이 생길 때 바다도 함께 만들어졌으며, 타르시스 지역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그 크기가 축소됐다고 19일 학술지 ‘네이처’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doi:10.1038/nature2 ... ...
- 애플, 비밀리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자체 개발 추진동아사이언스 l2018.03.19
- 비밀 제조 시설에서 마이크로 LED (MicroLED) 스크린 제품을 시험 생산하고 있다고 18일 (현지시각) 보도했다. 마이크로 LED는 OLED와는 다른 발광 화합물을 사용, 두께와 전력 소모는 줄이고 밝기는 높인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LED는 액정디스플레이 (LCD)에서 광원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로 쓰였다. ...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6
-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종에서 두 번의 유전적 교차점을 찾아냈다고 15일 (현지시각) 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GIB 데니소바인의 흔적은 파퓨아뉴기니와 호주 원주민 등 남서태평양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브라우닝 교수는 “현대 파뉴아뉴기니인 등과 데니소바인은 약 5%의 ... ...
- KAIST, 소유욕 만드는 뇌 신경회로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장난감을 갖고 놀게 하고, 다른 쥐는 물체를 주지 않고 뇌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MPA(전시각중추) 신경회로가 활성화 되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빛으로 MPA를 자극하자 쥐가 물체를 획득하기 위해 집착하는 이상행동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MPA신경이 수도관주위 회색질로 흥분성 신호를 보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손가락에 물체가 닿거나 소리를 들을 때 번쩍하는 뭔가를 본다고 한다. 즉 시각피질이 시각자극을 전혀 받지 못하면 그동안 눌려 있던 미미한 공감각 네트워크가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특이하게도 이 책은 발문(afterword)으로 마무리되는데 나보코프의 아들 드미트리가 쓴 글이다. 여기서 그는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