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떨어지고 심지어 죽기도 한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치매에 걸린 사람의 뇌(
아래
)와 걸리지 않은 사람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왼쪽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오른쪽은 신경세포 안의 타우 단백질을 측정한 영상이며 붉은색일수록 양이 많은 것이다. ... ...
피승호 SK하이닉스 전무·이종원 웨트러스트코리아 연구소장 산업훈장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차지트랩플래시와, 반도체의 셀 작동을 관장하는 회로인 페리를 데이터 저장 영역인 셀
아래
에 배치해 공간 효율을 높이는 기술인 PUC를 결합한 96단 4차원 낸드플래시메모리를 개발해 차세대 플랫폼을 완성하는 등 산업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석탑산헙훈장을 수훈한 이종원 소장은 당뇨보조 ... ...
스마트폰으로 툭 치자 '빈 병'표시가 떴다… 접촉만으로 사물 인식하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나온다. 이런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면 빈 병을 건드린 상황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
사진). 연구팀은 책과 노트북, 물병, 자전거 등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23종의 사물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조용한 가정 등 실내에서 98%의 정확도로 사물을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도로나 ... ...
전문가들 "日, 후쿠시마 오염수 정보 공개 않고 오염수 처리도 의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이 대표는 “후쿠시마 원전은 원자로 바닥에서 용융이 일어나며 무거운 방사성물질이
아래
로 깔리게 된다”며 “이런 노내용융물이 160t 가량 있다고 추정되는데 이것이 핵반응이 언제 재개될지와 냉각이 언제까지 될지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오염수 발생량을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선이 인트론이다. 마지막 엑손이 지정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보면 돼지(위)와 혹멧돼지(
아래
)에서 세 곳(각각 빨간색과 녹색)이 다르다.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지난 2011년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학술지 ‘바이러스학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연차평가·연구비 명세서 사라지고 관리시스템 통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의도하지 않은 위반 등을 감안할 수 있도록 이의 신청을 보장하는 등 강해진 책임
아래
에서도 연구자를 보호할 장치를 같이 고민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산재한 관리 규정 체계화 기대 정부 입장에서는 규제를 일관성 있게 다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2001년 제정된 ... ...
나노과학·의학 분야 국제 석학들 한국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개입이 양자역학적 시공간을 끊임없이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고 있다(맨
아래
사진). IBS나노과학연구단이 개최한 공모전 '양자의 세계'에서 1등을 차지한 조민정 작가의 '두 개의 향'(위)과, 윤민지 작가의 '무제2'. IBS 제공 IBS 나노의학연구단은 미국화학회(ACS)와 공동으로 9월 30일~10월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
2019.09.21
동공이 뱀처럼 세로로 길쭉한 모양으로 변한다. 위
아래
로 기다란 동공은 특히 물체의 위
아래
움직임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대신 좌우 움직임은 흐릿하게 보이기 때문에 옆으로 이동하는 물체는 잘 보지 못한다. 몸을 숨기고 먹잇감을 지켜보다 순식간에 달려드는 매복사냥에 최적화 된 눈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금은 행동해야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1
뒤로는 1900년대 국제 탄소배출량과 현재의 배출량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있다. 표지
아래
쪽에 나타낸 1900년대 국제 탄소배출량이 표지 위로 올라가며 점점 늘어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표지 제일 상단에 나타난 현재의 국제 탄소배출량은 표지 상단을 전부 덮을 정도로 1900년대와 비교해 크게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이후에도 치아와 팔 또는 다리뼈의 조각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나왔고, 올해는 드디어
아래
턱뼈가 발견됐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체구나 두개골 형상을 짐작하게 하는 큰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생전 모습은 미궁에 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발견한 손가락 뼈 조각과 치아에서 DNA 를 추출했다. 그런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