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58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년 발사를 목표로 한 누리호 3호기는 현재 조립중이다. 2031년에는 한국형 달 착륙선을
우리
손으로 달에 보낼 수 있는 차세대 발사체도 2031년까지 개발된다. 2023년부터 2031년까지 9년간 1조9330억 원을 투입해 누리호보다 강력한 2단형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중이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첫 위성 발사 30년만 쾌거...과학위성·과학로켓으로 이어진 우주개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만든 사람들이 당시 한 자리에 모였다. KAIST 제공 누리호는 1992년 8월 국내 첫 위성 ‘
우리
별 1호’ 발사 30년 만에 얻은 쾌거다. 국내 최초 액체로켓인 ‘KSR-Ⅲ’가 2002년 발사에 성공한 지는 20년 만이다. 세 차례 도전 끝에 2013년 1월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KSLV-Ⅰ)는 러시아와의 합작 개발이었던 만큼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장은 “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우리
가 만든 발사체로 우주에 쏘아 올렸다”며 "한국이 우주에서 뭘 할지 후속 발사체로는 무엇을 개발할지 고민해야할 시기"라고 말했다.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동영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 우주의 미래가 활짝 열렸다”며 "한국은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리는 7번째 나라가 됐다"고 말했다.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동영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동영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생중계] 누리호 오후 4시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로켓엔진 만큼 복잡한 발사대 "집에 못가면서 개발했죠" "
우리
손으로 만든 우주발사체,
우리
발사대에서 세우는 꿈 이뤘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00t급 1단 위용 마침내 드러내다 한국 엔지니어들이 피땀흘려 개발한 첫 우주로켓 엔진 '이모저모' 누리호의 ‘탯줄’ 제2발사대…지상 45m 높이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진행했다. 75t급 액체연료 엔진 4기를 묶어 300t의 추력을 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우주로켓인 한국형발사체(KSLV-Ⅱ) 누리호가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두 번째 재도전에 나선다. 누리호는 한국 과학기술의 집합체라 평가받을 만큼 다양한 분야의 고난도 ... ...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2023년부터 2031년까지 9년간 1조933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발사체가 개발되면 2031년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 달 착륙선을 달에 실어 보내는 첫 임무에 나선다. 차세대 발사체는 액체산소와 케로신(등유)를 사용하는 2단형 발사체로 개발된다. 1단 엔진은 100t급 추력을 내는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 ...
[2022 필즈상 후보](9) 기후변화 예측하는 방정식을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06.18
몰랐는데, 코윈 교수가 수학적으로 그 이유를 제시했다”고 설명합니다. 이 교수는 “
우리
생활 속에는 무작위적 요소가 많은데 이는 완벽한 계산이 어려워 확률로 접근한다”며 “특히 KPZ 방정식은 기후변화 예측 등 물리학에서도 많이 쓰이는 실용적인 방정식인데, 코원 교수는 이 분야의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컴퓨터로 봤던 사주팔자가 더 정확할까? 이영도의 SF소설 ‘별뜨기에 관하여’는 지금
우리
보다 더 적극적으로 점성술을 활용하는 존재가 나온다. 예를 들어, 사주에 맞춰 아이를 낳듯이 태어날 아이에게 좋은 팔자를 마련해주기 위해 초광속 우주선을 타고 원하는 별자리가 보이는 곳에 가서 아이를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그간 심층적 탐사가 거듭 이뤄져 왔다. 이제 그동안 소외됐던 거대얼음행성으로
우리
의 탐사 영역을 확장할 차례다. 천왕성 탐사는 태양계 내의 거대얼음행성뿐 아니라, 태양계 밖 더 넓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이다. 이번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2031년에서 2032년 무렵에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