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2,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극적인 사람이 전염병에도 덜 걸린다?2016.03.22
- 역겨움)를 발달시켰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그리고 역겨움 같은 정서적 반응뿐 아니라 인간의 기본적인 생각과 행동 패턴을 결정하는 ‘성격’ 또한 전염병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 연구자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극 추구성향이 높고 야외활동을 즐기며 외부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에는 또 다른 측면에서 도구사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논문이 실렸다.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즉 랭엄 교수의 동료다)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랭엄 교수의 ‘요리가설’을 반박하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즉 호모 에렉투스가 식생활에서 요리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50만 년 전보다 훨씬 이전부터 ... ...
- 화이트데이를 앞두고 외로운 당신을 위한 3가지 조언2016.03.08
- '따듯한 촉감'이 주는 긍정적 정서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Tai et al., 2011) 촉감은 우리 인간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서부터 각종 정서적인 ‘소통'(위로와 감사, 사랑의 표현 등)에 매우 중요하다. 고전적인 연구로는 원숭이들도 먹이가 나오는 철사 엄마 VS. 먹이가 나오지 않는 헝겊 엄마 중 ... ...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IBS l2016.02.29
- 시간 존재해온 음식의 세계. 여러 분야에서 요리에 다양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음식과 인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야 시작됐다. 아직 밝혀야 할 비밀들이 많은 만큼, 앞으로 세계 다양한 음식들과 요리, 미생물과 건강 등 많은 연구들로 인류의 식탁이 풍요로워지길 기대한다. ...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2016.02.26
- 데이터를 확보해 3000만 개 이상의 착점을 학습했다. 덕분에 이전의 어떤 인공지능보다 인간과 비슷하게 바둑을 둘 수 있다. 실제로 알파고에게 대국 중인 바둑판을 보여주고 온라인 고수가 어느 자리에 바둑돌을 놓을지 예측하게 하자 적중률이 57%를 기록했다. 기존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적중률이 ... ...
- 스트레스를 받는 나에게만 가혹한 ○○○ 세상, 정말일까2016.02.23
- 실제 공격적인 반응을 잘 이끌어내는 편이라는 연구들도 있다. 이를 통해서 다시 ‘역시 인간들은 나빠’라는 생각을 다시 강화하는 등 ‘오해 → 상대방을 공격 → 상대방으로부터 공격받음 → 다시 상대방을 오해’의 부정적인 싸이클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은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미토콘드리아치환요법과 게놈편집에 영국이 가장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인간배아다. - Kathy Niakan 제공 이처럼 게놈편집의 파급력이 워낙 크기 때문에 HFEA는 임상이 아니라 순수 연구 목적으로만 배아편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즉 배아를 대상으로 게놈편집실험을 하고 성공여부를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없는 피해자의 평소 인성을 지적하는 등 적반하장으로 구는 경우를 목격하곤 한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의심까지 들게 하는 이런 현상들에 대해 한 가지 설명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어서 소개한다(Sullivan at al., 2012). 집단적 피해의식(Competitive victimhood)은 ‘우리 집단도 당한 게 많다!’ 라는 말 그대로 ...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IBS l2016.02.03
- 않고 정면으로 응시한다는 데서 중요성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큐브는 세계와 인간의 인생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좋은 영화입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연구단은 최첨단 신경 이미지(뉴로 이미징) 기술을 활용해 뇌의 구조와 기능의 상관관계, 인간의 행동과 신경회로망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다. 연구단이 주로 활용하는 MRI, 광학영상 등에 필수적인 요소가 바로 바이오마커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나노 조영제는 나노물질과 특정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