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04
세울 때의 길이가 달라진다.박연은 더욱 면밀한 조사로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의 황종
높이
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는 길이의 황종율관을 만들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기장 알의 크기를 찾았다.우리나라 경기지방에서 나는 기장 알은 작아서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음이 높아졌다.그런데 삼남지방에서 나는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04
우리 나라의 남해대교, 미국의 금문교 등이 그 예이다. 재질이 균일한 줄의 양끝을 같은
높이
의 두 위치에 고정시켰을 때, 그 사이에서 줄이 쳐진 모양과 같은 곡선을 현수선이라고 한다. 이 말에서 현수교라는 이름이 나왔을 것이다.현수선 [y=acosh(x/a)= a/2(${e}^{(x/a)}$+${e}^{(-x/a)}$)]은 포물선과 그 ... ...
성형수술
과학동아
l
200003
있은 후 현재는 생리 식염수를 채운 실리콘 주머니를 사용한다. 또 근래에는 질감을
높이
기 위해 실리콘 주머니에 점도가 높은 다당류를 채운 보형물이 사용되기도 한다.수술은 흉터가 가려질 수 있는 겨드랑이 부위를 조금 절개해 보형물이 들어갈 포켓을 만들어 삽입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03
기울고, 봄 별자리들이 주인공이 된다. 저녁 남동쪽 하늘에서는 사자자리가 기세 좋게
높이
올라와 있고 북두칠성도 북동쪽 하늘에서 솟아오르고 있다. 그래도 밤은 아직 춥다. 따뜻하게 옷을 껴입고 밤하늘에서 계절의 변화를 느껴보자.하늘의 시계 북극성과 북두칠성호주나 뉴질랜드를 여행할 ...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
과학동아
l
200003
것이 알려지면서 모든 가설이 이론으로 자리잡는데 이것은 필수조건이 됐다. 산의
높이
를 측정하는데서 출발한 기하학이 이제 새로운 과학 이론의 출현을 돕고 있는 것이다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03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골즐은 성체로 자라면서 모양이 점점 더 커지고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해양파충류 악어가 바다로 돌아간 까닭오늘날 대부분의 파충류는 도마뱀이나 뱀처럼 육지에서 살거나 악어처럼 물가에서 생활한다. 그러나 중생대에 몇종류의 파충류는 육지에서 살 수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03
이용해 강을 건너지 않고도 강 너비를 알 수 있게 해줬으며,산에 오르지 않고도 산의
높이
를 알 수 있도록 했다.달에 가 보지 않고도 달까지의 거리를 쟀다.고대 학문의 중심지였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관장이었던 에라토스테네스는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하짓날 정오에 만들어지는 막대기의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03
고대인들은 천체를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해와 달이 불과 수km 정도
높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에게는 아리스타르코스의 계산 결과는 큰 충격이었을 것이다. 별의 등급 나누기어제 보았던 밤하늘이나 오늘 다시 나타나는 밤하늘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어 보인다.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02
평행사변형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형에 대한 개념을 배울 수 있으며 창의성을
높이
는 효과도 있다. 그래서 최근 학습교재로도 인기가 높다. 게다가 전통적 놀이방법 외에도 다양한 도형 공부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잊혀진 전통 민속놀이 중에서 최근 들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는 점에서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02
해당되는 물의 양을 알았다면 이것을 12배 하면 12시간이 될 것이다. 그리고 쌓이는 물의
높이
에 맞추어 시각을 나타내는 눈금자를 만들 수 있다. 물은 쌓이고 쌓여서 일정눈금에 이르면 한시간이 되고, 또 그만큼의 양이 더해지면 2시간이 된다(조선시대에는 하루가 12시이므로 1시간은 오늘날의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