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하지 않고 종이 한 장으로 접어서 다양한 작품을 만드는 예술 활동을 말한다.최초의 기록은 1680년경의 일본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그 뒤로 꾸준히 발전한 오리가미는 20세기 들어 본격적인 체계를 갖췄다. 이때 오리가미의 체계를 바로 세운 사람은 종이접기의 장인인 일본의 공예가 요시자와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선수 개인의 성적을 분류하고 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야구에서는 다양한 개인 기록을 데이터화할 수 있고, 이를 분석해 작전이나 경기 운영에 이용한다. 야구를 통계의 스포츠라 부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와 달리 축구는 90분 동안 끊임없이 공을 빼앗기 위해 다툰다. 공격과 수비가 ...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된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을 카메라에 담아 누가 돌아봤는지를 기록했다.잠시 후 연구자가 돌아와 게임을 마저 진행하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며 다음 네가지 이야기 중 하나를 들려준다. 거짓말과 상관없는 옛날 이야기, 피노키오 이야기. 양치기 소년, 조지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를 가하면서 유용한 생물자원을 꽤 많이 발굴했다. 최근 독도 와 울릉도에서 발견한 미기록 곰팡이 2종이 좋은 예다.독도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흰개미, 총채벌레, 바구미, 모기 등 해충을 죽이는 '메타리지움 규하우엔스' 종이다. 곰팡이 포 자가 곤충 표피에 퍼지면 균사가 안으로 침투해 며칠 안에 ... ...
- [과학뉴스] ‘먹방’보다 액션영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뒤 그룹마다 서로 다른 비디오를 20분 동안 보여 주면서 어느 음식을 얼마 만큼 먹는지를 기록했다. 보여준 영상은 액션영화 ‘아일랜드’, TV 토크쇼 ‘찰리 로즈 쇼’ 그리고 소리를 제거한 ‘아일랜드’였다.연구결과 액션영화를 감상한 집단이 토크쇼를 본 집단보다 2배 정도 더 많은 양을 먹었고,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구조가 가능했다. 2008년에도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밀집한 부산 재송동의 응급구조 기록을 연구한 결과가 같은 학술지에 실렸는데, 역시 층수가 높아질수록 구조 시간이 늘어났다. 초고층 지어야 할까사실 초고층과 관련해 떠올릴 수 있는 문제는 대부분 상식적이다. 큰 건물이 들어서면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후기다. ‘고려사’에 공민왕 때 백성들이 모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실시된 영조 시대와는 400년이나 차이가 난다. 모내기는 왜 이렇게 늦게 전파됐을까?모내기 이전에는 직파법으로 벼농사를 지었다. 밭에 씨앗을 바로 뿌려 벼를 키우는 방식이다.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새롭게 보고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 박 연 구사가 무척 신나보였다. * 미기록종 외국에서는 발견됐지만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은 종 땅 파고 물 빼면 신종이 콸콸 "신종 발견하면 일종의 환희 같은 걸 느끼시나요?" 유도질문 이었다. 당연히 환희를 느끼겠지 생각하면서도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하에서 기능한다. 세포하나만 놓고서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또 공학자들은 뇌파를 기록하는 뇌전도(EEG) 기기나 기능적자기 공명영상(fMRI) 장치 등을 활용해 뇌를 연구하곤 하지만 역시 한계가 있다. 결국 공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결합해야만 복잡한 뇌에 대한 이해도가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작은 생물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서 털끝 하나까지 특징을 기록해야한다. 사진한 장 찍는 일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둥그런 몸체를 가까이 찍다보면 초점이 나가기 일쑤다. 생물을 돋보이게 만드는 바탕 색지를 찾으러 시장바닥을 뒤지는 일은 그나마 애교다. 품은 엄청나게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