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실제상황을 재현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광물 운반선 로로선(자동차운반선) 등에서 광물운반선을 지정한다. 선박의 길이 폭
깊이
배수량(무게) 등 기초적인 자료도 임의로 입력한다.다음에는 입항할 항구를 골라야 한다. 물론 목적지는 캠블라항이다. 캠블라항은 광산지대에 위치한 조그만 항이지만 선박들의 출입이 잦고 지형조건이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차지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일 경우가 많다. 멀칭재배
깊이
갈이 작부체계(作付體系) 등을 가미한 종합적 방제기술이 기대된다.조상들은 주로 농촌에 살면서 농업에 종사해왔기 때문에 잡초의 뜻이 갖는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다.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채 안된 우리의 컴퓨터역사와 비교하면 현재 우리가 축적한 기술은 의외로 다양하고
깊이
있는 편이다. 이미 슈퍼미니컴퓨터까지 자체설계 제작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대학교수들 사이에 한글공학 병렬처리기술 등의 연구는 열기를 뿜을 정도이고 연구수준도 매우 높다. 심지어 경북대의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짓기가 애매합니다. 기계를 이해할 줄 아는 전자공학도의 영역인듯 하면서도 예술을
깊이
이해하는 미학도의 영역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제대로 된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관련 학과가 대학에 생겨나야 할 것입니다."금성컴퓨터에서 컴퓨터그래픽 분야를 연구하는 조신희씨는 ... ...
「과학교과서는 재미없다」는 통념 불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없다.이과생들의 선택과목인 생물도 학문을 위한 예비과정을 너무 강조해 분자수준까지
깊이
들어가기 때문에 흥미있는 생명현상을 공부하면서 쓸데없는 분자 구조식이나 암기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지구과학 과목도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내용의 난이도에 따라 쉬운 것은 과학Ⅰ(하)로, 조금 ... ...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는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대학원 과정에서는 특정한 전공과목을
깊이
공부할 수 있다.대학과 중·고등학교 시절의 학교생활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든다면 획일성의 유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등학교 때는 같은 시간에 등교, 아침자습, 1교시, 2교시…, 점심시간, 하교등 ... ...
공해시비 계기로 살펴본 티타늄, 가볍고 강한 재질의 첨단신소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경기용자동차 및 자전거 등 움직이는 물체에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물
깊이
9백m에서 40노트 이상으로 운항하는 원자력잠수함의 표면이 티타늄합금으로 돼 있다.티타늄이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성질은 녹이 슬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바닷물에 의한 부식에 매우 강한 성질을 가지고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낭창낭창한 허리를 가진 암사자도 그 위용이 대단하다. 더욱이 화사한 황금빛에서
깊이
있는 흑갈색으로 변해가는 멋진 갈기를 갖고 있는 수사자의 모습을 보면 과연 제왕의 칭호를 받을만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그러나 사자를 백수의 왕으로 보는 이들은 주로 서양사람들이다. 이에 비해 ... ...
수지침의 원리 손을 통해 온 몸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몸침 혹은 체침)과 달리 수지침은 침술을 배우는 기간이 짧고(1~3개월) 침을 놓는
깊이
가 얕으므로(0.5mm~1mm) 초보자가 직접 침을 놓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부작용이 거의 없다. 게다가 자기 몸에 놓는 침을 개인이 각자 소장할 경우 타인의 병원균이 옮을 가능성이 없다는 것 또한 큰 장점이다 ... ...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기생화산이다. 탐사단이 산굼부리에 올랐을 때는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고 있었다.
깊이
를 알수없는 산굼부리 분화구에는 '식생의 프리즘'이라고 부를 만큼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셋째날의 첫탐사는 천지연폭포 근처의 서귀포 패류화석층. 이곳은 다섯 단계에 걸쳐 형성됐다는 화산선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