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캠프 첫째 날과 둘째 날
밤
9시부터 ‘공학과 사회’를 주제로 열띤 심야토론을 했다.첫날
밤
은 ‘과학동아’ 8월호 특집기사 ‘신토불이(身土不二) 과학인가, 미신인가?’를 읽고 농산물 수입에 대한 입장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나눴다.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토론은 의견이 좁혀지지 ... ...
보이지 않는 것들의 작은 위대함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천국이다.영국 작가 데이비드 보더니스가 쓴‘시크릿 하우스’는 아침 7시에 일어나
밤
11시 45분에 잠들 때까지 하루의 일상을 따라가며 우리가 무심코 지나가는 온갖 현상과 사건을 과학자의 독창적인 시선으로 바라봤다.아침 7시엔 자명종이 울리는 소리의 파동이 마하 1의 속도로 달려 사방으로 ... ...
지구인들은 어두운걸 싫어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아휴∼, 눈 부셔.
밤
인데 지구는 왜 이렇게 밝은 거야? 난 눈이 커서 이렇게 밝으면 너무 괴롭다고. 그리고 이렇게 필요없이 전구를 켜 놓으면 쓸데없이 소모되는 전기가 많을 텐데 지구인들은 에너지 아까운 줄 모르나 보군. 아마 겁이 많아서 어두운 게 싫은가 봐!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나타났다. 난류는 기체나 액체의 불규칙한 흐름을 뜻한다.아라곤 박사는 ‘별이 빛나는
밤
’(1889), ‘삼나무와 별이 있는 길’(1890) ,‘까마귀가 나는 밀밭’(1890) 등 고흐가 1890년 자살하기 전에 그린 그림들을 분석했다. 그림 전체의 밝기를 분석하기 위해 임의의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두 점의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통계적 오류가 숨어있었다. 기온 낮을수록 로켓 이상 감소?비극적인 재앙이 일어난 전날
밤
케네디우주센터에서는 열띤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 관계자들은 우주왕복선 발사를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사건의 원인이 된 고체로켓 모터의 접합부위를 염려했다.우주왕복선이 이륙하기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솔방울을 넣고 불을 붙인 다음에 빙빙 돌리면, 깡통안의 불꽃이 원을 그리며 어두운
밤
을 아름답게 수놓는다.보어 원자 모델의 단점쥐불놀이의 원운동은 언뜻 보면 보어의 원자 모델을 닮았다. 원운동의 반지름은 철사의 길이로 정해진다. 멀리서 바라보는 쥐불놀이의 풍경은 전자가 원자핵에서 ... ...
'윙' 날개소리는 모기의 구애법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여름
밤
단잠을 깨우는 모기 소리는 알고 보면 짝을 찾는 세네라데다. 영국 그리니치대의 곤충행동학자인 가브리엘라 깁슨 박사는 모기는 어두운 곳에서 소리를 이용해 짝짓기 한다는 연구논문을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깁슨 박사는 수컷과 암컷 모기 한 마리씩을 가는 철사로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용하면 더욱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고, 별도로 판매하는 LED 조명장치를 이용하면
밤
에 아름답게 빛나는 개미굴을 볼 수 있다.앤트워크 안의 개미 수명은 자연 상태 일개미의 수명과 비슷한 3~6개월이다. 새로운 개미를 넣으면 새 굴을 파지만, 기존 개미들과 싸우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목소리 보다 낮게 들린답니다.▶플라시보 효과?가짜약을 먹고도 병이 낫는다는 사실!
밤
에 잠을 잘 자지 못하는 환자에게 밀가루로 만든 약을 수면제라고 속이고 처방해 주면 진짜 수면제를 먹은 것과 같이 편안하게 잠이 드는 경우가 있어요. 이렇게 가짜약이 병을 치료하는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 ... ...
야광구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전이나 해진 뒤에만 볼 수 있는 신비한 구름이 있다. 상공 80km 높이에 떠있는 이 구름은
밤
에 은빛이나 푸른빛을 내 ‘야광구름’이라 불린다.야광구름은 1885년 극지방 상공에서 처음 관측된 뒤로 매년 커져 최근 위도 40도 아래까지 퍼진 상태다.지난 5월 26일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항공우주국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