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성질을 이용해 컴퓨터로 몸 내부를 그린다.이밖에도 테크네튬-99를 이용해 몸의 특정
부위
의 상태를 살펴보는 신틸레이션(섬광) 진단장치, 감마선이나 양전자의 소멸방사선을 이용하는 단일광자방출 컴퓨터단층촬영장치(SPECT), 양전자의 방출을 이용하는 단층촬영기(PET), 핵자기공명현상(원자핵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비해 훨씬 작용이 약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심장
부위
의 근육에는 PDE가 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었다.이런 상황에서 1992년 내약성 실험(최대 용량을 투여해 부작용을 관찰하는 실험)에서 흥미로운 ‘부작용’이 발견됐다. 8시간마다 50mg을 10일간 복용한 사람에게서 다른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밝혀냈다. 만약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른다면 옥수수 알에서 얼룩의 출현빈도와 출현
부위
의 변화를 전혀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주장은 당시의 학계에서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32년 후 그녀가 81살이 되었을 때에서야 업적을 인정받았다. 그녀는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한조사에 따르면 현재 세계 인구의 약 40% 이상이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고 있다고 한다. 더욱이 영상매체의 발달과 생활 습관의 변화로 눈 ...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이 우리 눈에서 굴절률 변화를 가장 크게 일으키는 각막
부위
를 갈아내 굴절률을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하는데 이용된다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각종 뼈들의 기능이 퇴화할 수밖에 없다.무른 음식 탓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부위
는 아래턱뼈다. 최근 10여년 간 턱의 폭과 길이가 5% 정도나 줄었다. 외관상 턱 끝이 이전보다 뾰족해졌다는 의미다. 음식이 무른 이유도 있겠지만 열풍처럼 번지는 다이어트 때문에 현대인들이 지나치게 입을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 있게 했다. 전투를 하다가 다친 병사의 몸에서 폭탄 파편을 찾아주었고, 어느
부위
의 뼈가 부러졌는지도 알려주었다. 그래서 X선 촬영은 병원에서 필수코스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X선 촬영을 많이 하면 몸에 좋지는 않다.프랑스의 여성물리학자 마리 퀴리(1867-1934)는 방사성물질인 라듐을 연구해 ... ...
메기에서 강력한 항균물질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병균의 침입을 받지만 감염이 드물고 치유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메기의 상처
부위
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아니나 다를까 메기의 피부에서 효력이 강한 항균펩티드가 발견됐다. 개구리에서 얻은 것보다 12-1백배,두꺼비경우보다 8배나 뛰어난 효능이였다.또다른 동물은 없을까 김교수는 좀더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아세틸콜린이 결합되면 근육이 수축되고, 아세틸콜린이 떨어지면 근육은 늘어난다.수술
부위
를 선택적으로 마취시키는데 사용하는 d-투보쿠라린이라는 마취제는 매우 복잡한 모양을 가진 분자로 아마존 유역에 사는 원주민이 사냥에 사용하는 독초인 쿠라레의 주요 성분이다. d-투보쿠라린이라는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제시했다. 처음 일본 열도가 분리될 때 가장자리보다 가운데에 강한 힘을 받은 탓에 중심
부위
가 꺽인 채 태평양을 향해 밀려나갔다는 설명이다. 이때 일본 열도의 북단과 남단은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50도 정도 회전했다. 이 모습이 마치 부채를 펼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이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한다”는 입장이다. 왜 14일일까. 이때에 이르러서야 배아의 각 세포는 몸의 어떤
부위
로 자랄지 명확하게 결정된다. 특히 일부가 척추로 자라날 원시선(primitive streak)이 뚜렷이 드러나는게 이 시기다(과학동아 1999년 2월호 ‘인간복제 계기로 본 생명’ 참조). 따라서 14일 이전까지의 배아는 엄격한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