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d라이브러리
"
분리도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4. 소각재에서 탄생한 첨단 세라믹 제품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석탄재와 제철 찌꺼기, 소각재는 이름만 들어도 아무 쓸모 없는 쓰레기라는 느낌이다. 하지만 이들 무기 폐기물 속에는 기존의 원료를 능가하는 훌륭한 세라믹 재료가 숨어있다. 각종 유해 중금속을 추출해 다양하고 뛰어난 기능을 갖는 첨단 세라믹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자.폐기물은 크게 유 ... ...
3. 버려진 PC와 휴대폰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새로운 기종이 나오면 버려지는 컴퓨터와 휴대폰. 정보화시대의 필수품이긴 하지만 이렇게 버려지는 컴퓨터와 휴대폰은 환경을 위협하는 새로운 산업쓰레기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폐PC와 폐휴대폰은 더이상 쓰레기가 아니다. 금, 은, 팔라듐 등 고가의 금속들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폐PC와 폐휴 ... ...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지난 9월 17일 고고학자들은 이집트 기자의 대피라미드 묘실 남쪽 벽에 있는 환기통로로 소형로봇을 들여보냈다.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리보오스인 것을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라고 한다 후자는 리보뉴클레오시드보다 불안정하고, 디 ... ...
2. 산유국의 꿈 폐기물에서 일군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플라스틱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다. 하지만 용도를 다한 플라스틱은 곧장 쓰레기로 변해 소각되거나 방치된다. 그러나 폐플라스틱은 그 원료가 기름이듯 이를 잘 이용하면 다시 석유로 되돌릴 수 있다. 그동안 쓰레기로만 인식됐던 폐플라스틱이 어떻게 기름으로 탈바꿈하는지 알아보자.플라스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지구 자원이 대체되는 속도는 현재 인류가 지구 자원을 고갈시키고 있는 속도를 따라올 수 없다고 UN은 밝혔다. 세계 인구 중 가장 부유한 15%는 지구 자원 전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후진국 성장의 기준이 되는 자원이 빨리 고갈되는데 한몫하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방대한 양의 얼음이 최근 NASA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에 의해 붉은 행성의 표면 아래에서 발견됐다. 표면에서 부터 30-60cm 아래에 묻혀 있는 얼음 결정은 화성으로의 유인탐사를 쉽게 만들 것이다. 화성에서 마실 물과 지구로 돌아올 연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 ... ...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인류가 화성으로 가는 길은 현재 알려진 시나리오대로라면 3년이 걸리는 대장정이다. 플라스마엔진을 이용하면 이 기간을 꽤나 줄일 수 있다. 기존 엔진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의 정체는 무엇일까.사람이 화성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주선의 성능이 중요하다. 화성까지 갔다가 돌아오 ... ...
1. 한반도에 숨겨진 희귀약초 캐낸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한반도에 자라는 4천여종에 이르는 자생식물. 우리 조상이 때론 먹거리로, 때론 약초로 이용한 소중한 자원이다. 최근 생명공학을 바탕으로 자생식물에서 약효를 지닌 식품을 개발하는 연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바로 식품의약분야다.지난 8월 12일 환경부는 우리나라 동해의 울릉도와 독도 지역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내가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발표는 내가 최초입니다.” “최초로 이해한 건 나입니다.” 지난 8월 11일 포항 문예회관 대강당 무대에서는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두고 세명의 남자가 다투고 있었다. 이 남자들이 다투고 있는 것은 산소 발견의 우선권. 바로 ‘산소’라는 연극의 한 장면이다.극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알래스카 빙하의 두께가 지구온난화로 말미암아 해마다 50cm 이상 얇아지고 있다는 미 콜로라도대 연구팀의 연구결과가‘사이언스’최신호에 발표됐다. 레이저 고도계를 이용해 67곳 산악빙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1년에 얼음이 녹아 물이 된 양이 6×${10}^{16}$t에 이른다. 전세계 바닷물 수위를 0.02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