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덤
묘소
뫼
묘
산소마스크
마스크
묘지
d라이브러리
"
산소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용접법의 하나 금속의 접합 부분을 누르면서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가열하여 접착하는 방법 1942년에 스위스의 CF 키르에 의해 개발되었다 천연 가스의 저장법으로도 널리 이용되는 채유법(採油法)의 하나 유전 또는 인근의 가스전(田)에서 분출되는 고압(高壓)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있다. 우다 교수의 연구에서 동해 고유수의
산소
가 풍부했다는 점은 깊은 곳으로
산소
가 풍부한 표층수가 활발하게 공급된다는 의미다. 따라서 동해의 컨베이어벨트가 빨리 돌아가고 있음을 말해준다. 최근 연구결과, 동해 컨베이어벨트의 속도가 약 1백년으로 대양에 비해 10배나 빠르다.그런데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있다.문제는 약물을 어떻게 폐까지 전달시키는가다. 우선 폐가 들이마시는 공기 성분이
산소
인 것처럼 약물이 작아져야할 것이다. 나노기술은 약물을 나노구조 안에 가둘 수 있어, 이를 사람이 흡입하는 방법을 실현시킨다. 이 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될 약물은 당뇨병 환자들이 매일 주사 맞는 ... ...
우주에서 응원한 붉은악마 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도깨비불처럼 밝게 빛나는 두눈이 보인다. 하얗게 이글거리는 두눈 역시 수소와
산소
가 덩어리진 채 빛나는 모습이다. 오른쪽눈은 무거운 별 하나에서 나오는 뜨겁고 강한 빛과 강력한 항성풍이 만들어낸 것이다. 반면 왼쪽눈은 무거운 별 여럿의 합작품인데다 우주먼지까지 가세해 훨씬 복잡하게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성능은 연료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연소되는지에 달려있다. 즉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
의 양을 정확히 알아야 최적의 연료분사 값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성능 엔진을 만들 수 있다.후각 담당하는 고체전해질KAIST 재료공학과 박종욱 교수가 이끄는 재료소 자연구실에서는 공기 속에 들어있는 ... ...
설탕과 알루미늄이 양초를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양초가 완전 연소되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발생한다.그러나 양초의 심지 부근은
산소
와 접촉 기회가 적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난다. 따라서 심지 부근에 알루미늄 대롱을 연결해두면 미처 타지 못한 탄화수소 성분이 대롱을 따라 흰 연기로 나오게 되고, 여기에 불을 붙이면 더 타게 된다 ... ...
산화·환원 이용한 음주측정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무색으로 되돌아간다.이 실험을 여러번 반복하다보면 고무마개로 막은 플라스크 안의
산소
량이 감소해 플라스크를 흔들어도 푸른색으로 변하는 정도가 줄어든다. 계속 실험하고 싶다면 공기를 주입하고 지시약을 한방울 정도 더 넣어주면 된다.슬기는 실험실에서 구할 수 있는 물질로 음주측정기를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순발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중 1kg당 1분에 섭취할 수 있는
산소
의 양인 최대
산소
섭취량이 늘어날수록 파워와 스피드가 좋아지고, 전력질주를 한 뒤에도 피로 회복속도가 빠르다. 유럽 프로축구선수들은 한 경기에서 평균 96회 전력질주를 하는데, 셔틀 런 테스트에서는 1백회 이상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근육과 혈액속에 존재하는 이 두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서열이 완전히 다르다. 그럼에도
산소
를 수송하는 똑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단백질은 서로 비슷한 모양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단백질의 모양이 실제 일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헝가리 태생의 미국 과학자 폰 노이만은 이같은 질문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그는 탄소와
산소
로 구성된 물렁물렁한 생명체나 볼트와 너트로 만들어진 기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생명체를 ‘합성’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졌다. 노이만은 앨런 튜링이 이론적으로 제시한 ‘튜링기계’에 자극받아 좀더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