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가 바다로 진출하기에 최적의 시기였다. 트라이아스기가 끝나면서 판게아가 위 아래로 갈라지자 북반구에는 로라시아 대륙, 남반구에는 곤드와나 대륙이 새로 만들어졌다. 이 새로운 대륙 사이로 트라이아스기 때 판게아의 동쪽에 있던 원시 바다 테티스해가 서쪽까지 크게 확장됐다. 이때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손보는 방법을 가르쳐 주거나, 어울리는 다른 식재료를 알려 주기도 했다.그는 언덕 아래 거주구역을 찾는 일이 거의 없었고, 결코 탄광에도 공항에도 가지 않는 조금 괴팍한 사람이었지만, 그런 식으로 코쇠의 ‘선생님’이 되었다.소금이 일곱 살에 만난 선생님이었다.인구가 줄어들고 있었다. ... ...
- [과학뉴스]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강이 초기 화성의 남쪽 열대 대역을 따라 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의 지각 아래에 있는 거대한 얼음 저수지도 과거에는 극지 근처였던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3월 2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태아를 가진 산모와 정상 산모를 추적비교 하는 대규모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제 아래 질문들을 던질 차례다. 지카는 왜, 무슨 이유로 소두증을 일으키는 걸까.바이러스는 아무 이유 없이 우리를 괴롭히는 사이코패스가 아니다. 오직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우리 몸에 피해를 입힌다.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월 한국공공정자은행연구원(아래 정자은행 연구원)이 부산시로부터 재단법인으로 설립을 허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국립, 공공 또는 상업 등의 어떠한 정자은행 체계도 없었다. 이에 박남철 부산대병원 비뇨기과 교수와 서주태 단국대 의대 비뇨기과 교수는 지난해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위 이빨에 모두 가려지는 ‘앨리게이터과’, 나머지 14종은 입을 닫았을 때 네 번째 아래 이빨이 바깥으로 보이는 ‘크로커다일과’다. 이들은 특징이 서로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등 쪽 피부 밑에 디스크 모양의 골편(osteoderm, 뼛조각)들이 있기 때문에 묶어서 ‘악어목’이라고 부른다.골편은 악어를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체를 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실수가 이어지는데, 백이 왼쪽 아래에서 살기 위해 백134로 밀고 나오는 장면이다. 여기서 알파고는 흑135로 한 칸 뛰어 좋은 모양을 만들었는데, 그냥 A에 두었다면 백이 살 길이 없었다. 이 정도는 아마추어 중급자 정도만 돼도 찾을 수 있는 수다 ...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적혀있어요. 한자로 9(九)가 있고, 아래에는 세로로 점이 두 개(:)가 찍혀있어요. 점 아래에 한자로 81(八十一)이 적혀 있습니다. 같은 두 수를 곱할 때는 반복해서 쓰지 않고 ‘:’ 으로 표현한 것이지요.두 번째 칸, 오른쪽 세 번째 줄에는 6x8=48을 계산한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여기서는 40을 한자 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소수의 나눗셈을 자연수의 나눗셈처럼 하기 위해서는 소수점의 위치를 옮겨야 합니다. 이 방법을 왜 쓰는지 알아봅시다. 그리고 새로운 나눗셈 방법도 살 ... 2단이나 3단처럼 계산하기 쉬운 곱셈을 활용하면 나눗셈을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는 2단을 활용한 나눗셈입니다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웃음은 운동 중에서도 최고의 운동”이라고 말했다. 달리기를 하면 숨이 가빠지고 아래턱과 팔다리가 크게 흔들리면서 몸 전체가 진동하는데 이런 유산소 운동의 반응이 우리가 웃을 때 나타나는 신체 반응과 비슷하다. 실제로 15분 동안 큰 소리로 웃으면 조깅을 한 것처럼 혈관이 확장된다는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