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변기는 내부가 S자 모양이에요. 물을 내릴 때마다 S자 배관에 새로 물을 채워 넣다보니 10L 이상의 물이 사용되지요. 이에 2014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와 변기 제조업체 여명테크는 ‘가변 트랩’을 사용해 물은 적게 쓰지만 성능은 똑같은 변기를 개발했어요. 가변 트랩은 모양이 ... ...
- [만화뉴스] 오늘의 날씨 : 이구아나 비가 내릴 예정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구아나는 바깥 기온에 따라 체온이 바뀌는 변온 동물이에요. 그래서 이구아나에게 이상적인 기온은 26~35℃ 정도이며, 기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대사 활동이 느려지고, 기온이 더 떨어지면 기절하기도 하지요. 평소 플로리다주 남부는 겨울철 평균 기온이 20℃ 정도예요. 하지만 1월 21일 저녁, ... ...
- [과학뉴스] 사람처럼 땀 뻘뻘 흘리는 로봇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고, 플라스틱 소재가 주변 온도에 따라 반응하지요. 소프트 로봇 주변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올라가면, 열 반응성 플라스틱이 움직이면서 미세한 구멍이 열리고, 안에 채워져 있던 물이 표면으로 나온답니다. 마치 우리가 더울 때 땀샘이 열리며 땀을 흘리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연구팀은 물을 ...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식물들의 피해는 어떨까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에 있는 곤드와나 열대우림은 200종 이상의 희귀 생물을 품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에요. 호주 식물 종의 절반, 조류와 포유류 종의 3분의 1이 이곳에서 살고 있지요. 그런데 이번 산불은 곤드와나 열대우림의 약 53%를 불태웠어요. 2억 년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로봇은 기네스에 기록된 ‘세계에서 가장 큰 네 발 달린 외골격 로봇’이에요.(정말 이상한 분야의 1등이죠?) 키 3.96m에 폭이 5m가 넘는 정말 거대한 로봇이죠. 제작 기간만 10년이 걸렸다고 해요. 별로 쓸모는 없어 보이지만, 멋있으면 장땡이죠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테플론 공장이 있던 웨스트버지니아주 주민들이 암에 걸리고 기형아를 출산하는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됩니다. 테플론을 만들 때 과불화옥탄산(PFOA)이라는 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 PFOA가 문제였던 것이죠. 이런 사실은 한 변호사가 듀폰을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면서 밝혀집니다. 실화를 토대로 한 영화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하게 하고 군 복무로 인정하는 병역특례 제도다. 대학원 성적, 3급 이상 한국사검정능력시험, 공인영어시험 텝스(TEPS) 점수를 토대로 매년 2500명이 전문연구요원으로 선발된다.이공계 대학원생들은 군 복무에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활용하는 분위기다. 취재 당시 방문한 연구실 ... ...
-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호소한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롭은 수차례 농장을 방문하면서 소의 이상행동을 목격했고,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결국 소송을 맡기로 결심한다.영화에서 롭이 목격한 소는 외형이 심하게 변형됐고, 폐사한 소의 장기는 크게 부풀었다. 소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들의 치아도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시작한 2016년부터 현재까지 1만 6000명 이상의 시민천문학자가 참여해 195만 7000개 이상의 신호에 대한 분류가 이뤄졌습니다. 최근에는 이탈리아에 설치된 중력파 관측 장치인 ‘버고’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까지 추가돼 시민 천문학자의 할 일이 더 많아졌습니다. 최첨단 천문학 연구에 동참하고 싶은 ... ...
- 스타워즈 통신수단, 홀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5cm 안에 100개의 픽셀이 들어가지만, 이번에 개발한 픽셀은 2만 5000개 들어갈 수 있어 250배 이상 선명한 화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보고, 듣고, 만지는 홀로그램?!지난해 11월 14일, 영국 서식스대학교 기계정보학부 히라야마 류지 연구원은 512개의 작은 스피커를 이용해 보고,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