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그러나 홈페이지 제작만큼이나 중요한 일이 아직도 남아 있다. 새로운 소식을 올리고
잘못
된 것을 고치는 유지보수가 바로 그것이다.대부분의 홈페이지 에서는 마지막으로 수정한 날짜를 입력함으로써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이는 그냥 간단히 'Last Updated:언제' 라는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정확성의 한계를 고려해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만 표시한다.그러나 리히터규모를
잘못
이해한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규모 7.4를 가리켜 '리히터지진계로 관측한 바에 의하면 강도가 7.4' 라고 언론에서 보도하는 경우가 자주있다. '리히터지진계'라는 관측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강도'라는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생산하게 된다. 편집증 과학자 니그마와 악당물주 투페이스와의 만남은 과학과 자본의
잘못
된 만남을 우화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그것은 소름끼치는 기술제국주의의 현실을 희화할 뿐 아니라, 개인의 편집증이 어떻게 집단적 제국주의 욕망으로 흐르는지에 대한 단적인 예가 된다.니그마와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거대한 규모를 염두에 둔다면 환경보호론자들이 육지의 생태계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잘못
된 일이라고 램쉬드박사는 말한다. "교과서에는 아직도 모든 종의 80%가 열대우림에 집중돼 있다고 나와 있다. 이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것은 단지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전문과학자의 80%가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다른 차가 지나간 타이어 자국을 따라 주행하는데, 이는
잘못
된 방법이다. 바퀴사이로 솟아있는 흙덩이에 차량 하체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다른 차들이 만들어 놓은 문턱에 바퀴를 올려놓은 다음 주행하는 것이 좋다. 용어설명주행조종시스템(TCS, Traction Control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해저 광케이블을 매설하거나 보수하는 등 많은 일을 한다.앨빈이 미공군기 B52가
잘못
떨어뜨린 수소폭탄을 찾아내고 타이타닉의 사진을 찍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 CURV와 아르고라는 무인탐사로봇의 도움 때문이었다. 1973년 미해군이 만든 무인탐사로봇 CURV-III는 아일랜드 근처 수심 4백20m에 침몰한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혹시 스케일링이 치아를 더 나빠지게 한 것이 아닐까 의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
된 생각이다. 오랜 세월 동안 두터운 치석으로 둘러싸야 있던 치아가 스케일링으로 치석이 제거되자 찬물이나 찬바람 같은 외부 자극을 더욱 민감하게 느낄 뿐이다.이는 때가 많던 사람이 오랜만에 밀린 때를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콜립에게 맡기는 행위는 연구지도자로서 비난받아 마땅한 행위다.그렇다고 밴팅의
잘못
이 없는 것도 아니다. 연구실에서 일어나는 일이 자신에게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연구원은 그저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일이 발생한 시점에 정확히 문제점을 지적해 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밴팅은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발길이도 맞으면서 볼이 넓은 신발을 신어야 한다. 발의 형태가 어떻든 신발을
잘못
신으면 발병이 생길 수 있다. 자신의 발형태에 맞는 적절한 신발을 신어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다. 뒷굽이 3cm이상 이거나 앞이 뾰족한 구두는 대부분 신었을 때 발가락이 조이는 느낌을 주는데 이런 신발은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상대성원리'에 따라 빛의 속도로 뒤쫓는다면 앞서가는 빛은 멈춰야 한다. 무엇이
잘못
된 것일까.아인슈타인의 고민은 계속되고 또 계속됐다. 그동안 취리히에 있는 스위스 연방공과대학을 졸업했고, 1902년 베른에 있는 스위스 연방 특허국에 들어갔다. 그는 이곳에 근무하면서 독학으로 패러데이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