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05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공원공단·동아사이언스, 생태 분야 시민과학 활성화 손잡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15
분석해 연구에 활용한다. 12년 간 생물종 데이터 16만 건을 수집한 결과 논문 8편이
발표
됐다. 동아사이언스와 국립공원공단은 시민과학 활성화를 목표로 앞으로 공동 신규 과제를 발굴하고 운영하는 등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은 시민과학을 활성화하기 ... ...
대한수학회 논문상에 강정수·최규동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20명의 초청강연을 포함해 총 267편의 논문 또한
발표
될 예정이다. 이 밖에 청소년 및 일반 대중과 함께하는 수학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은수 서울대 교수 ‘왜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는가’를 주제로 대중강연을 진행한다. 학술대회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 ...
우주론·빅뱅이론 유효기한 끝났다?…의문 제기하는 천문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기존 우주론과 다르게 고정값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일 확률이 95%라고
발표
하기도 했다. 손우현 연구원은 "영국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가 DESI 프로젝트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기존 우주론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연결점이 있다"고 밝혔다 ... ...
"엄마 면역 이상이 태아 뇌 신경발달 장애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중추신경계가 말초 면역계와 상호작용한다는 새로운 발견들이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발표
되고 있다"며 "향후 신경발달 장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뇌 질환 연구를 통해 중추신경계 외부와의 소통 및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 교수는 임신 중 감염이 ... ...
해외 전쟁 AI 동향 살핀다…제1회 '미래국방 전략포럼'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전쟁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와 그에 따른 시사점에 대해 소개했다. 두 번째
발표
를 맡은 김종희 국방과학연구소 국방AI센터 실장은 우리 정부의 국정과제인 ‘AI 과학기술강군’ 육성을 위해 지난 4월 1일에 창설된 국방AI센터의 설립 현황, 운영 방향 등을 소개했다.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을 ... ...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및 비행 로봇인 홉콥터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0일(현지 시간)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
했다. 생물들 중에는 공중과 지상 이동을 융합해 움직이는 생물이 많다. 앵무새나 참새 같은 조류는 나뭇가지 사이를 뛰어넘으며 비행해 민첩하게 움직인다. 메뚜기나 벼룩 등 곤충도 환경을 탐색하고 ... ...
"평화주의자 보노보, 생각보다 공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12일 국제학술지 '커런트바이올로지'에
발표
했다. 보노보는 공격성이 높은 침팬지 공동에 비해 평화로운체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수컷 중심의 위계질서를 갖는 침팬지 사회에서는 공격과 살상은 물론 전쟁도 다반사로 발생한다. 암컷 중심 ... ...
12년째 이어진 수학계 '초전도체급 스캔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앤드류 그랜빌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는 2018년 '수학적 증명의 본질'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
했다. 그는 당시 '콴타매거진'에 모치츠키 교수에 대해 언급하며 "수학자가 순수한 생각만으로 위대한 진리에 도달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수학자는 타인과 소통하며 단계적으로 배운다"면서 "증명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질소고정'을 해양 조류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11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질소고정은 대기 중의 질소를 생물체가 생리적, 화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끔 질소화합물로 바꿔주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질소를 제공하고 생장에 도움을 준다. ... ...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l
2024.04.13
처음 쓰였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2월 17일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아 매스메티카'에
발표
했다. (doi: 10.1016/j.hm.2024.01.001) 이는 그동안 수학계에 알려졌던 것보다 150년 가량 앞선 시기다.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은 중국, 인도 등 여러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나타났다. 그중 현재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