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장"(으)로 총 2,2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ㆍ중ㆍ일 공동으로 활성단층 조사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0
- 홍타오 중국 국무위원, 신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유사쿠 야노 일본지질조사소장(왼쪽부터).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판의 내부에 위치한 한국은 이제껏 지진 안전지대로 여겨졌습니다. 양산단층, 울산단층 등 활성단층으로 인한 위험성 문제가 대두된 만큼, 한중일 공동연구를 통해 넓은 ... ...
- [르포] 고리원전 1호기, 가동 40년 만에 영구정지동아사이언스 l2017.06.19
- 1000MW)에는 한참 못 미치지만, 고리 1호기의 설비용량(587MW)보다는 높은 수치다. 박 소장은 “현재 고리 1호기는 영구정지를 앞두고 있지만 설비 개선을 통해 효율은 다소 높아진 상태”라고 말했다. 고리 1호기의 주제어실. -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 5년간 원자로 냉각, 해체 계획 수립… 원전 해체 1 ... ...
- [수(獸)페셜리스트] “동물복지는 감성이 아닌 과학으로 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7.06.18
- 병이 들거나 자해로 죽는 등 피해가 생기는데, 이를 숫자로 보여주며 설득했다. 이 부소장은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연구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말한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동물복지연구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고 있지요. 점점 바뀌어 나갈 ... ...
- 박형주 수리과학硏 소장 1년 9개월 만에 돌연 사표동아사이언스 l2017.06.15
- 잘못이 없음에도 이들에게 책임을 물리라는 이야기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사임 후 다음달 7일부터 아주대 수학과 교수로 복직할 계획이다 ... ...
- 법흥리 수리부엉이, 장단콩웰빙마루 사업으로 서식지 파괴 위기동아사이언스 l2017.06.15
- ‘수리부엉이’가 아예 빠진 것에 의혹이 일었다. 정다미 꾸룩새연구소장은 “수리부엉이는 날 때조차 소리를 내지 않도록 진화한 소음에 민감한 동물”이라며 “멸종위기 2급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종이 이미 해당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왔음에도 환경영향평가에 언급조차 되지 않은 점이 ... ...
-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06.14
- 아자 스튜디오 제공 ● 아라비아, 원래는 초원이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박물관이 소장해온 중요문화재 466건을 볼 수 있는 ‘아라비아 길’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어요. 제1 전시실 입구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사람을 닮은 석상 세 개가 눈에 들어왔어요. 그 중 가운데에 있던 ... ...
- 유영민 미래부 장관후보자는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7.06.13
-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출발해 ICT분야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연구소장, 전문경영인을 거치면서 쌓아온 융합적 리더십이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측은 또 “4차 산업혁명 선제적 대응, 국가 연구개발(R&D) 체제 혁신, 핵심 과학기술 지원, 미래형 연구개발 생태계 ... ...
- 국립과천과학관 광물특별전 ‘광물! 그 아름다움과 가치‘ 열어동아사이언스 l2017.06.13
- 있습니까? 이런 순수한 규소 덩어리는 쉽게 보기 힘들 겁니다” 이지섭 민 자연사 연구소장이 ‘생활 속 광물, 입고 먹고 쓰다!’ 코너에서 광택나는 검은 금속 덩어리를 가리키며 실제 사업체에서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석영에서 추출한 순수한 규소라고 소개했다. 석영에서 추출한 순수한 규소 ... ...
- 부팅 기다릴 필요 없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7.06.07
- 스핀을 주입할 수 있어 동작 온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장 소장은 “반도체 스핀 트랜지스터 개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동작온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한계에 다다른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집적도를 극적으로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 ...
- 산소운반 필수 단백질, 예쁜꼬마선충이 ‘헴’ 농도를 유지하는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6.06
- 알려져 있었다. 메릴랜드대 동물및조류과학과 이크발 함자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소장 속 효소단백질 ‘HRG-7’과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의 ‘BMP-4’의 상호작용으로 다른 조직과 헴의 농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고 분석했다. 함자 교수는 “혈액이 없고 피부도 투명한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