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최근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만들었다. 단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위)과 도식적 표현(
아래
)으로 거친 알루미늄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자라면서 서로 엉켜있는 모습이다. 이 물질이 밴타블랙보다 더 검은 이유는 아직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ACS 응용 재료 및 계면’ 제공 학술지 ‘ACS 응용 재료 ... ...
달착륙 50주년 국제 미술대회 대상에 김해인 양…"3학년 때부터 천문대 다녀"
2019.09.16
6학년에 다니고 있다. IAU는 올해 설립 100주년과 달 착륙 50주년을 맞아 ‘하나의 달
아래
에서(Under One Moon)’이라는 주제로 전세계 어린이 대상 미술대회를 개최했다. 5~12세 어린이들이 참가할 수 있는 이번 미술대회에서는 28개국에서 약 400점이 넘는 작품이 출품됐다. 김해인 양. 김해인 양 어머니 ... ...
갑자기 밝아진 우리은하 중심 거대 블랙홀...'강한 활동' 암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G2’가 2014년 초대질량블랙홀에 접근하면서 표면의 물질을 블랙홀에 공급했을 가능성(
아래
사진), 다수의 운석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우리은하 중심부의 활동이지만, 태양 및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빛의 속도로 2만 6000년 가야 하는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13일 영국 ... ...
[주말N수학] 수학적으로 베이글과 머그잔은 똑같다
수학동아
l
2019.09.14
있습니다. 이때 구간이란 빨대 길이만큼의 공간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
와 같습니다. 너드슨 교수는 이처럼 어떤 원을 S¹이라고 할 때 빨대 길이 L에 대해 구간 [0, L]을 I로 표현하고 빨대를 S¹×I라는 식으로 나타냈습니다. 즉 S¹이라는 원을 0부터 L까지 I만큼의 구간으로 늘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알코올)을 마시면 궁상핵의 베타-엔도르핀 뉴런(위)이 활성화돼 궁극적으로 도파민 분비(
아래
)가 늘면서 우리는 쾌감을 느낀다. 중간 단계를 생략해 단순화한 그림이다. 리드칼리지 제공 특정 혈자리에 놔야 효과 대구한의대 양재하 교수팀과 김희영 교수팀을 비롯한 공동연구자들은 쥐를 ... ...
한국 첫 달 탐사계획 다시 또 연기…2022년 7월 궤도선 발사(종합)
2019.09.10
들어 달 탐사 계획은 다시 한번 수정됐다. 이전 계획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달 궤도선을 2020년까지 발사하기로 했다. 하지만 달 탐사 계획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연됐다. 달 탐사 사업을 총괄하는 항우연이 기술적인 문제를 놓고 내부 갈등을 겪었기 때문이다. 항우연 노동조합은 ... ...
달탐사 2020년서 2018년 다시 2020년서 2022년으로...왔다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들어 달 탐사 계획은 다시 한번 수정됐다. 이전 계획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달 궤도선을 2020년까지 발사하기로 했다. 하지만 달 탐사 계획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연됐다. 달 탐사 사업을 총괄하는 항우연이 기술적인 문제를 놓고 내부 갈등을 겪었기 때문이다. 항우연 노동조합은 ... ...
'건강 망치는 뱃살' 여성이 더 위험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네이처 메디신' 9일자에 발표했다. 내장들 사이사이에 끼는 내장 지방은 피부
아래
층에 쌓이는 피하 지방과 달리 건강에 해롭다. 피하지방은 체온을 유지하고 위급할 때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만, 내장 지방은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특히 복부에 찌는 살은 내장 지방일 ... ...
올 한가위 보름달 13일 저녁 6시38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14일 오후1시33분쯤 완전히 둥근 달의 모습을 갖출 전망이다. 이때는 달이 지평선
아래
로 내려간 뒤라서 직접 눈으로 볼 수 없다. 이에 가장 둥근 모습의 달은 한가위 보름달이 지는 시각인 14일 저녁 월출 이후 서쪽 지평선에서 볼 수 있다. 이번 한가위에 완전히 둥근 달을 볼 수 없는 것은 음력으로 ... ...
보라색 달팽이가 나타났다
팝뉴스
l
2019.09.07
달팽이는 학명(Janthina janthina)도 있는데, 위키 백과를 찾아보면 그 모습이 조금 다르다.
아래
와 비교해보면 위 사진은 포토샵으로 만든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