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최대"(으)로 총 1,9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리 1호기' 특집(2)]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전, 고리1호기의 탄생까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총생산의 약 5%에 달하는 금액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비 429억 원의 3배가 넘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건설 사업이었다. 고리 1호기의 설비용량은 58만7000kW로 1978년 상업운전 시작 당시의 전체 발전설비용량 659만kW의 9%를 담당했다. 또 고리 1호기 발전단가는 9.21원/kWh로 화력발전 발전단가 16.0원 ... ...
- 도심 속 연료전지 발전소 ‘상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13년에 완공된 경기 화성에 설치된 경기그린 연료전지 발전소는 설비용량 60MW급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로 건설됐다. 1년에 4억 6400kWh의 전기와 1950㎉의 열을 생산해 화성시의 가정용 전력 소모량의 70%에 해당하는 13만 5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하지만 연료전지 ... ...
- 화성 탐사의 심리학2015.10.19
- 부피가 550㎥에 불과하다. 그리고 탐사 54일부터 470일까지는 지구와 교신에 지체가 생겨 최대 25분에 이른다. 다만 무중력의 환경은 구현하지 못했다. 낮과 밤의 신호가 없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24시간을 주기를 유지한다(매일 오전 8시에 아침식사). 또 지구에서처럼 5일을 일하고 이틀을 쉰다. 2013년 ... ...
-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으로 보는 신재생에너지의 미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12
- 사업을 추진한다.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울릉도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자립섬이 된다. 울 릉도 2020년 에너지 자립!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은 기존의 디젤발전 중심의 전력공급체계를 신재생에너지로 바꾸는 획기적인 프로젝트다. 울릉도는 ... ...
- 에너낙, 세계 최대 수요관리기업의 한국 진출기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세계 최대 전력 수요관리 사업자 ‘에너낙(EnerNOC)’은 지난해부터 한국에 진출했지만, 그보다 전인 2012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의 에너지 수요관리에 대한 자문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정부기관 최초로 서울시와 수요반응 참여 협약을 체결했고, 서울시에 최적화된 ... ...
- 네가와트 시대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자회사 에너지풀이 효성과 수요관리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너지풀은 유럽 최대의 수요관리업체로 프랑스, 일본 등 6개국과 사업 중이다. 국내 수요관리사업의 대표주자인 벽산파워는 자체 개발한 에너지관리 솔루션 ‘에너글’을 기반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까지 진출하고 ...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KISTI l2015.09.29
- 아침잠이 많은 사람은 게으르다? 지난 몇 년간 저녁형 인간’에 대해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저녁형 인간=게으르다’는 통념이 ...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조차 모두에게 똑같이 강요하는 사회에 살다보니 자신의 기량을 최대로 발휘해 볼 기회조차 없이 살아오고 있을 뿐일지도.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2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수 있을 정도로 넓다. 터널은 지하에서 다시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가 최소 50m에서 최대 300m인 것까지 다양하게 뻗어 있으며, 총 연장이 9.5km에 이른다. 이처럼 거대한 연구시설인 만큼 건설하는 일도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가장 큰 문제는 지하수였다. 섬에 자리잡은 탓에 지하로 들어가는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발굴된 호모 날레디 화석. 1550점에 이르는 엄청난 양으로 아프리카 고인류학 발굴 사상 최대 규모다. - eLife 제공 이번 호모 날레디의 경우는 호모속 신종으로 보는데 반론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뒷받침하는 증거가 굉장하다. 먼저 화석의 규모로 뼈와 이빨을 합쳐 모두 1550점에 이르고 최소한 15명인 ...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 고양이의 경우는 좌우를 좁히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람에서 동공의 최소 크기는 최대 크기의 15분의 1인 반면 고양이는 135분의 1이다. 그만큼 폭넓은 광량에 적응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이 가설은 가로와 세로의 차이를 설명하지 못한다. 이밖에 몇 가지 가설이 더 나와 있지만 그다지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